딱따구리는 어떻게 나무에 구멍을 뚫어도 뇌가 멀쩡한가요?
안녕하세요
딱따구리는 모두가 알다 있듯이 나무에 구멍을 뚫어 그 속에 있는 먹이를 잡아먹습니다 그런데 딱따구리는 나무에 구멍을 뚫는데 머리에 충격이 가지 않나요? 머리로 많은 충격이 갈거 같은데 멀쩡한가요?
머리와 목뼈의 구조가 충격에 잘 견딜 수 있는 구조로 되어있습니다.
그리고 두개골 안쪽에 다른 동물에 비해 많은 뇌수가 있어 뇌가 충격에 더 보호됩니다.
또 혀가 매우 길며 혀가 두개골을 감싸는 형태로 들어가 완충작용을 합니다.
딱따구리의 머리는 충격을 분산시키고 흡수하는 특수한 구조를 갖추고 있습니다. 그들의 두개골은 상대적으로 부드럽고 유연한 뼈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어 충격을 효과적으로 흡수합니다. 뇌는 두개골 안에서 매우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어 쪼는 동안 발생하는 진동으로부터 보호됩니다. 두개골 내에서 공간적 여유가 거의 없어 뇌가 충격에 움직일 여지가 많이 않습니다. 특히 혀가 매우 길어 머리 뒤쪽의 후두골까지 돌아가 혀 뿌리 근처에서 충격을 흡수해주는 역할을 합니다.
- 딱따구리가 부리로 나무를 쪼는 순간 뇌와
두개골을 잇는 근육이 뇌를 두개골 쪽으로 당겨 충격을
흡수하기 때문에 딱따구리는 빠른속도로 나무를 쪼아도 뇌진탕에 걸리지 않습니다.
딱따구리는 나무를 두드리는 과정에서 강한 충격을 견딜 수 있도록 특별한 적응 기제를 가지고 있습니다. 우선 딱따구리의 머리뼈는 단단하고 두꺼워 충격을 흡수하고 분산시킵니다. 또한 부리와 머리뼈 사이에는 특수한 연골과 뼈 구조가 있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뇌는 머리뼈 안에서 특별한 위치에 자리잡고 있어 충격으로부터 보호받습니다. 게다가 딱따구리의 뇌는 다른 조류에 비해 작고 단단하게 고정되어 있어 진동에 의한 손상 위험이 적습니다. 이러한 해부학적, 구조적 특징 덕분에 딱따구리는 하루에 수천 번씩 나무를 두드려도 뇌 손상 없이 먹이 활동을 할 수 있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창민 수의사입니다. 아직 명확하게 나온 건 없습니다. 사람 같은 경우, 뇌 손상이 있으면 타우 단백질이 축적되는 걸 발견할 수 있습니다. 미국 보스턴의대 연구자들은 딱따구리의 뇌에서도 타우 단백질을 발견했지만, 상식적으로 뇌 손상이 있는데 2억 년이 넘는 시간 동안 지속해서 나무를 두드리는 건 말이 안 되므로 아마도 타우 단백질이 딱구리에서는 뇌를 보호하는 역할을 했을 거 추측하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딱따구리의 머리는 두개골이 두껍고 강하며, 머리뼈 사이에 있는 공간에는 공기가 가득 차 있어 충격을 완화시키는 역할을 합니다..
딱따구리가 나무를 쪼갤 때 뇌에 손상이 없는 이유는 생물학적 적응력 때문입니다.
딱따구리의 두개골은 충격을 흡수하는 특별한 구조를 가지고 있습니다. 딱따구리의 두개골은 다른 새들과 비교해 더 많은 미네랄이 축적되어 훨씬 강하고 딱딱합니다. 그에 비해 뇌는 작아서 전해지는 충격이 크지 않습니다.
또한, 딱따구리의 혀뼈는 뼈 외부는 유연하고 뼈 내부가 더 단단한 정반대의 구조를 가지고 있고 이 구성이 유연성을 높여주면서 더 높은 충격과 진동을 흡수할 수 있는 것입니다.
게다가 딱따구리의 뇌를 둘러싼 액체의 양이 적은 것도 중요한 역할을 하는데 부리가 강한 충격을 받는 동안 뇌의 움직임을 줄이는 데 도움이 됩니다. 이런 특징들이 딱따구리의 뇌를 강한 충격에서 보호하는 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