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Ditto
Ditto24.02.21

별이 많이 보이는 날도 있는 반면 하나도 보이지 않는 날도 있는 이유가 뭔가요?

별이 많이 보이는 날도 있는 반면에 별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 날도 있던데, 별이 하나도 보이지 않는 날도 있는 이유가 궁금해요. 어떤 과학적 원리가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은 항상 빛을 내고 있습니다

    밤에 잘 보이고 안보이고 차이는 하늘에 구름이 많이 껴서 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것입니다.

    이는 성층권의 대기가 추워짐으로 인해 구름의 양이 많이 생겨 빛을 차단했기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별이 만히 보이는


    날도 있고


    별이 하나도


    안 보이는 날도 있는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



    대기 오염은 별빛을 흡수하고 산란시켜 별이 덜 보이게 합니다.


    도시 지역에서는 자동차 매연, 공장 배기가스


    건설 먼지 등으로 인해 대기 오염이 심하기 때문에 별이 덜 보입니다.


    시골 지역에서는 대기 오염이 적기 때문에 별이 더 많이 보입니다.



    달빛은 매우 밝기 때문에 별빛을 가릴 수 있습니다.


    보름달이 뜬 날에는 별이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반면에 초승달이나 달이 없는 날에는 별이 더 많이 보입니다.



    구름은 별빛을 차단하기 때문에 별이 덜 보입니다. 구름이 많은 날에는 별이 거의 보이지 않습니다.


    반면에 구름이 없는 날에는 별이 더 많이 보입니다.



    도시 지역에서는 건물, 가로등, 자동차 등에서 나오는 빛 공해가 심합니다. 빛 공해는 별빛을 가릴 수 있습니다.

    시골 지역에서는 빛 공해가 적기 때문에 별이 더 많이 보입니다.


    겨울에는 여름보다 별이 더 많이 보입니다.


    겨울에는 밤이 길고 맑은 날이 많기 때문입니다.


    여름에는 밤이 짧고 흐린 날이 많기 때문에


    별이 덜 보입니다.



    위치에 따라 별이 보이는 개수가 다릅니다.


    남반구에서는 북반구보다 더 많은 별을 볼 수 있습니다.


    그 이유는 남반구에서는 남십자성과 같은 남반구에서만


    볼 수 있는 별들이 있기 때문입니다.


    시력이 좋을수록 더 많은 별을 볼 수 있습니다.


    시력이 나쁠 경우 별이


    흐릿하게 보이거나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어둠에 적응하는 데 시간이 걸립니다.


    어두운 곳에 처음 도착했을 때는 별이 많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어둠에 적응하면 더


    많은 별을 볼 수 있습니다.



    별이 만히 보이는 날도 있고 별이


    하나도 안 보이는 날도 있는 이유는 대기 오염,


    달빛, 구름, 빛 공해, 계절, 위치, 시력, 눈의 적응 등 다양한 요인이 있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셨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