입시스타일만 보고 과를 정하는건..
자유표현소묘도 해보고 정물소묘도 해보았지만 자유표현보단 정물소묘가 더 잘맞았습니다 회화과에 가고싶지만 가족들 반대로 디자인과에 갈 것 같은데 혹시 회화과 디자인과 서로 장단점을 적어주실 수 있을까요?? 대학교에선 완전히 다른걸 배우게되는데 입시스타일만 보고 과를 정하는건 잘못된 방법일까요?
안녕하세요. 윤지혜 전문가입니다.
입시 스타일만 보고 과를 선택하는 것은 어떤 점에서는 장기적으로 좋지 않을 수 있습니다. 입시 과정과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 그리고 졸업 후의 진로까지 모두 중요한 요소이기 때문에, 자신의 성향과 목표에 맞는 선택이 필요합니다. 회화과에서는 자유로운 표현과 개인의 스타일을 중시하며, 감정과 생각을 시각적으로 표현하는 데 집중합니다. 본인이 자유롭게 작업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제공됩니다. 입시 스타일만 보고 과를 정하는 것은 단기적인 판단에 불과할 수 있습니다. 중요한 것은 자신이 어떤 작업을 하고 싶은지, 어떤 진로를 원하고 있는지입니다. 대학에서 배우는 내용과 졸업 후의 진로를 고려하여, 자신의 성향과 목표에 맞는 과를 선택하는 것이 장기적으로 더 유익할 것입니다. 입시스타일만보고 과를 정하는 것은 바로 이렇게 잘못된 점이 있을 수도 있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장서형 전문가입니다.
회화과나 디자인과 둘 모두 개인의 창의력이 필요한 분야인데, 회화과의 경우에는 좀 더 자유로운 표현과 실험이 가능하여 자신만의 스타일을 개발할 수 있고 또 다양한 회화의 역사,기법,이론 등을 공부하여 예술적 감각과 비판적 사고를 기를 수 있을 것입니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취업에는 어려움이 있을 수 있는데, 회화 전공이 상업적으로 직접적 연결이 어렵기 때문입니다.
반면 디자인과의 경우에는 상업적 요구에 부합해야하는 작업 위주로 돌아가고, 졸업 후 취업의 기회는 상대적으로 많을 수 있습니다.
또한, 디자인의 경우에는 혼자 작업하는 경우도 있지만 팀과 협업하는 경우가 많고 디자인 분야에도 그래픽디자인, 제품, 패션 디자인등 다양하기 때문에 또 그 안에서 선택을 해야 합니다.
그리고 결론적으로 입시스타일만 보고 전공을 정하기보다는 본인이 위와 같은 각각의 특성에 더 잘맞는 즐기면서 작업을 할 수 있는 전공을 선택하셔야 오래 할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되니 참고하시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