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숭늉한사발
숭늉한사발23.03.04

날지 못하는 조류는 왜 날개가 퇴화된건가요?

새들 중에 날개의 기능이 퇴화되어 날지 못하는 새들이 있는데요, 어떤 이유로 인해 날지 못하게 되었을까요?

처음부터 날지 못한 종이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날지 못하는 조류는 환경 변화나 생존 전략에 따라 날개가 퇴화된 경우가 있습니다. 날개가 큰 것은 비행하는 데 필요한 에너지가 많이 소비되기 때문에, 날지 않고 지상에서 먹이를 찾거나 둥지를 지어 생존하는 것이 더 이상적인 선택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생존 전략으로 날지 못하는 조류의 경우 날개를 보다 짧고 둥글게 만들거나, 부피를 줄여 경량화하거나, 다른 목적으로 변형시켜 사용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이에 따라 날개에 대한 근육, 뼈, 깃털, 혈관 등이 변형되고 날지 못하는 조류의 종류에 따라 날개의 형태와 크기가 달라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날지 못하는 조류는 다양한 종류가 있지만, 대부분은 비행 능력이 없는 것은 그 생활 환경 때문입니다.

    날지 못하는 조류의 대표적인 예시는 타조, 노랑부리올빼미, 펭귄 등이 있습니다. 이들 조류의 공통점은 몸무게가 크고 발달된 다리를 가지고 있어 육상에서 빠르게 움직이거나 수영할 수 있는 능력이 뛰어나다는 것입니다. 따라서, 이들 조류는 비행 능력보다는 육상에서 빠르게 움직이거나 수영하여 먹이를 잡고 생존하는 데 적합한 생태계에 적응해왔습니다.

    날개가 퇴화된 이유는 이들 조류가 지난 수백만 년간 진화 과정에서 날개를 사용하지 않는 환경에서 생존할 필요성이 높아졌기 때문입니다. 날개는 큰 에너지 소비를 요구하는 기관이므로, 비행하지 않는 조류들은 육상 또는 수영 생활에 더 많은 에너지를 투자하고, 날개를 간소화함으로써 더욱 효율적인 생존 전략을 발전시켰습니다.


  • 날지 않고 날 수 있는 종에서 진화한 여러 새가 있지만, 육식 동물이 없는 곳에서 육지나 물에서 움직이는 법을 배웠습니다. 이러한 활동은 비행만큼 많은 에너지를 필요로 하지 않습니다. 날지 못하는 새가 될 정도로 날개가 퇴화된 이유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새들 중에서 날개의 기능이 퇴화된 새들을 "비행불능새" 또는 "비행장애새"라고 합니다. 이러한 새들은 자연적으로 태어난 것이 아니라, 진화 과정에서 날기에 필요하지 않은 요소들이 더 필요한 요소들로 대체되면서 날개의 기능이 퇴화된 것입니다.

    예를 들어, 대부분의 비행불능새들은 섬이나 도시와 같이 비교적 작은 지역에 서식하면서 먹이 구하기에 문제가 없는 환경에서 발생한 경우가 많습니다. 이러한 새들은 날아다니는 것보다 지상에서 먹이를 찾는 데 더 유리한 몸체 구조로 진화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이런 경우에는 지상에서 빠르게 움직일 수 있도록 다리가 길어지거나 발가락이 크게 발달하며, 날개는 작아지거나 퇴화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따라서, 비행불능새는 처음부터 날지 못한 종이 아니라, 진화 과정에서 날기에 필요하지 않은 요소들이 더 필요한 요소들로 대체되면서 날개의 기능이 퇴화된 것으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