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자산관리

느긋한돌고래111
느긋한돌고래111

물가가 오르는것만큼 급여가 오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물가가 오르는것만큼 급여가 오르지 않는 이유가 무엇인가요?

20년에 비해서 물가는 3배이상 오른거 같거든요?

그런데 월급은 요지부동인거같아요.

왜 이런 현상이 발생하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8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배현홍 경제전문가입니다.

    임금 결정 메커니즘의 구조적 특성이 가장 근본적인 원인입니다. 임금은 물가와 달리 경직성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물가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라 상대적으로 빠르게 변동할 수 있지만, 임금은 다음과 같은 이유로 느리게 조정됩니다.

    먼저 임금 협상 주기의 문제가 있습니다. 대부분의 임금은 연 1회 정도의 주기로 협상되며, 이 과정에서는 과거 데이터를 기반으로 미래를 예측해야 합니다. 하지만 최근 몇 년간의 물가 상승은 예측을 뛰어넘는 수준이었기 때문에, 임금 인상률이 실제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하는 상황이 발생했습니다.

    또한 기업들은 임금을 올리는 것에 대해 매우 신중한 태도를 보입니다. 한 번 오른 임금은 쉽게 내릴 수 없기 때문에, 불확실한 경제 상황에서는 인건비 인상에 보수적으로 접근하게 됩니다.

    그리고 물가는 경쟁시장이다보니 특정 누군가 우위가 있는 시장이 아니지만 임금은 근로자가 아니라 사측의 우위를 갖고 있습니다 즉 경쟁시장이었따면 근로자는 자기보다 급여를 많이주는곳으로서 이직을 해야했지만 그게 아니다보니 임금상승의 전가가 안되는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는 원자재, 환율 등 외부 요인에도 영향을 받지만 임금은 기업 수익성과 고용 구조에 따라 제한적으로 오릅니다. 특히 저성장, 고령화 환경에서는 임금 인상 압력이 약합니다. 결국 물가와 임금이 항상 같은 속도로 움직이지 않아 체감 격차가 생기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명목 임금은 오르더라도 물가 상승률을 따라가지 못해 실질 구매력이 감소하는 '실질 임금 감소' 때문입니다. 코로나19 이후 시중 통화량 증가, 공급망 문제, 생산 비용 상승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물가가 급격히 올랐지만, 기업들이 임금 인상을 못하면서 이런 불균형이 심화되고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올랐으나 아무래도 월급도

    오르긴 하였스빈다만

    최근까지도 체감상 물가상승이 과했던 등

    이에 그렇게 느껴지는 것이고

    보통 상대적으로 물가의 오름폭이 크기에

    우리는 투자를 하여야 하는 것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허찬 경제전문가입니다.

    월급은 회사의 상황에 맞춰서 움직이는 것인데, 물가가 오르더라도 기업의 영업이익이 그에 맞춰서 올라가지 못한다면 기업 입장에서는 월급을 물가만큼 그대로 인상해주기 어렵습니다. 또한 한번 올린 월급은 다시 낮추는 것이 매우 어렵기 때문에 기업 입장에서 부담도 있습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하성헌 경제전문가입니다.

    물가가 오르는 만큼 급여를 올리면 좋겠으나 이만큼 급여가 오른다고 한다면 기업은 성장성이 정체가 될것입니다. 반대로 급여에 맞춰 물가를 상승하지 못하도록 하는것도 공산주의의 형태라 시장에 이러한 보이지않는손에 대한 개입을 줄이는 추세라 볼수 잇습니으.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전문가입니다.

    • 과거부터 이어져온 당연한 경제논리이며 자본주의 사회에서는 돈을 모아

      자산을 소유하지 않으면 그 속도를 따라잡기가 어렵습니다

    • 물가가 오르면서 월급도 같이 상승하는 경우는 경제도 그만큼 같이 상승하는 케이스이지만

      현재는 우리나라 경제가 0%대 상승을 보이고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급여의 상승을 기대하기는

      어려움이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물가가 오르는 만큼 급여가 오르지 않는 이유에 대한 내용입니다.

    바로 우리나라 기업들의 급여에 대한 정책에

    문제가 있는 것으로 저는 생각합니다.

    최소 물가 오르는 이상으로 월급 책정이 매년 되어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