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데굴데굴
데굴데굴22.09.26

아이가 밥을 잘 씹지 않고 삼키는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5살 아이인데요. 밥을 꼭꼭 씹어 먹어야 하는데 몇 번 안 씹고 바로 삼켜버리는데요. 아이가 음식을 잘 씹어 먹도록 어떻게 가르쳐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혜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자녀분이 밥을 꼭꼭 안씹는 문제로 고민이 많으시군요 사실, 아이가 음식을 잘씹게 만드는 특별한 묘책은 없습니다 아이가 음식을 먹을때 '냠냠' 소리를 내게 하시고 열번씩 씹고 삼키는 놀이를 해보시는게 좋겠습니다 무엇보다 즐거운 식사시간이 될 수 있게 해주시길 추천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음식을 먹는것에 관한 책을 읽어주는것이 좋을수있으며

    소화에 대한 책을 읽어보는것도 좋습니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 아이와 놀이를 하면서 알려주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요구하는 것을 직접 해봤을 때 안전에 무리가 없을 경우 수용해주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부모가 걱정되어 하지 말라는 일을 직접 했을 때 얼마나 불편하고 번거로운 일인지

    직접 체험해서 깨닫게 된다면 그 다음부터 무작정 부리는 고집을 포기할 수 있습니다.

    위험일이 아니라면 우선 경험하게 하고 그 힘듬을 알려주세요.


  • 안녕하세요. 박일권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씹는 것이 어려워서 그럴 수 있습니다. 음식을 잘게 썰어서 주시고 부모님이 아이 앞에서 음식을 오물오물 씹어 먹는 모습을 지속적으로 보여주세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9.27

    안녕하세요.

    아이에 식습관은 어릴때 형성되어서 쉽게 바뀌지는 않지만 5세에 형성되는 중요한 시기이므로 잘 잡아주셔야 앞으로의 식습관 형성에 중요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먼저는 먹을때 관찰을 잘하셔서 혹시 장애가 있는지 보시고 의심되시면 재활의학과에 구강운동치료 등도 고려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부모님이 인내해주셔야 할꺼 같아요. 아무리 시간이 걸려도 씹어서 먹는 습관을 가질수 있도록 지켜봐주시고 지도해주세요~.

    밥먹는 시간을 길게 가져가주고 아이와 이야기해서 10번 이상을 씹고 먹도록 이야기를 해보셔야할 것 같습니다. 부모님이 옆에서 지켜보며 아이가 씹는 횟수 등을 체크해 주시면 아이의 식습관이 어느정도는 개선 될것이라 생각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음식을 꼭꼭 씹지 않으면 소화가 되지 않고

    배가 아프다는 것을 알려주신다면 아이가 보다 식사를

    할 때에 꼭꼭 씹을 것이니 이러한 것들 위주로 교육을 진행해보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밥을 잘 씹지않고 삼킨다면

    무작정 설명을 하는 것보다는

    아이와 함께 게임같이 씹는 것을 교육하는 것이 좋습니다

    엄마랑 누가 많이 씹나 시합해봏까? 이런식으로

    재미를 이끌어내보시기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해당되는 애니매이션 시청각 자료가 분명히 있을 것입니다 그런것이 있으면 그러한 것을 아이에게 보여주면서 설명을 해주는 것도ㅠ좋은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밥에 흥미가 없기 때문에 맛을 전혀 느끼지 못하고 삼키는 것 같습니다.

    엄마 아빠가 아이 앞에서 꼭꼭 씹어서 드시는 모습을 자주 보여주시고, 밥을 맛있게 먹고 있는 내용을 담고 있는 동화책을 자주 읽어 주세요

    또한 비염이나 축농증 등으로 코로 숨 쉬는 것이 불편한 아이도 잘 씹지 않는 경향이 있으니 아이의 건강상태, 컨디션을 체크해봅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치아 개수, 구강 구조, 충치 등의 이유로 씹는 것이 불편한 경우도 있습니다.
    그런 게 아이면 먹기 싫다는 의사를 씹지 않는 행동으로 표현하기도 합니다.

    또는 TV 등을 보면서 음식을 먹으면 거기에 집중하느라 씹는 것을 잊어버릴 수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