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기타 육아상담 이미지
기타 육아상담육아
짙푸른불곰80
짙푸른불곰8023.02.16

아이가 음식을 잘 씹지 않고 자꾸 입에 넣고 있습니다.

자꾸 아이가 27개월인데 스스로 밥을 먹지 않고 입에 머금고만 있습니다.
안삼키고 자꾸 입에 다람쥐처럼 모아두는데 속이 터져버리겠습니다.
이럴경우 아이가 주도적으로 식사하게 하는 방법이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와 함께 같이 씹어서 먹는것을 연습해보아도 좋습니다

    부모와 같이 놀이처럼 하면서 서로 씹는것을 보여주고 연습해주시면 좋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숟가락에 떠져 있는 양을 줄여 꼭꼭 씹어 먹을 수 있도록 이야기 해 주시고 도와주세요!

    아이가 잘 할 수 있다고 격려 해 주시면 좋아요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가 음식을 씹지 않고 물고만 있는 경우 아래와 같이 여러가지 상황을 파악해보세요.

    식단에 발달 단계에 맞는 지 점검해 본다

    현재의 이유식을 점검해 보자. 예를 들어 유아식시기에 이유식 완료기 메뉴인 진밥, 무른 반찬 등 시기보다 낮은 단계의 음식을 먹이면 오히려 아이가 먹는 것에 흥미를 잃고 잘 씹지 않을 수 있다. 두 돌 무렵의유아식은반드시 성인의 식단처럼 밥, 국, 반찬으로 구성해야 하고 밥은 소화가 잘 되는 쌀밥, 국은 간을 하지 않는 것이 원칙이다.

    고형식 경험이 부족해서일 수 있다

    12~24개월 아이가 돌을 전후로
    아이가 입에 음식을 물고 있는 것은 고형식 경험이 부족해서일 수 있다.

    고기 등 단단함 음식을 씹지 않고 있거나 뱉어내기도 한다.

    아이 입에 너무 많은 음식을 넣어주지 말고, 아이가 씹기 좋은 크기로 잘라서 조리해 준다. 성장기 발육에는반드시꾸준한 양질의 단백질 공급이 중요하다. 단백질을 통한 철분 섭취가 부족하면 깊은 잠을못 자기도하고, 두뇌 성장도 저하되기도 한다. 이유식단계를 조금 천천히 가더라도고형식에 대한 거부감을 없애고, 꾸준한 단백질 섭취로 성장의 발판이 되도록해야한다.

    돌 이후부터 3세까지는 급성장기로, 단백질공급이매우 중요하다. 하루 두 끼 이상은 쇠고기, 닭고기, 돼지고기, 달걀, 생선 등 다양한식재료로단백질을 공급해 주어야 한다.

    간식의 횟수와 양을 체크해보자

    아이의 식습관 때문에 힘들어 하는 엄마들이 의외로 놓치는 것이 간식의 양이다.

    대부분의 아이는식사 이외의간식에 대해관심이 많고,
    이에 대한 엄마들의 태도는 생각보다 관대한 경우가 많다.

    간식은 하루 두 번 소량으로, 횟수와 양을체크해 보자.

    아이가 충분히 허기졌을 때 식사할 수 있도록 간식을 생략해 보는 것도 좋다.
    고른 영양소로 구성된 식단을 충분히 먹는다면 꼭 간식으로 영양분을 보충할 필요는 없다.

    가족이 맛있게 먹는 모습을 관찰한다

    또래 친구나 가족이 음식을 입에 넣고 씹는 모습을 관찰하게 해보자.

    조금은 과장된 모습으로 맛있게 먹는 모습을 연출하면 더 좋다.
    거울, 돋보기 등으로 씹는 모습을 관찰해보는 것도 아이의 호기심을 일깨운다.

    아이가 좋아하는 책이나 영상을 통해 다른 사람이 씹는 모습을 보여주는 것도 방법이다.

    다양한 식재료, 다양한 레서피를 활용해 보자

    다양한 음식을 먹어야 좋아하는 맛을 찾을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조리해야 아이가 좋아하는 질감을 발견할 수 있다.

    달콤한 고구마나 단호박도 구워서
    으깨 먹는 것과 죽으로 조리하는 것은 질감도 다르고 맛도 달라진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조현배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신체활동을 왕성하게 하여 가급적 배가 고픈 상태에서 식사를 하도록 해주시고

    식사 중 관심을 뺏길만한 물건은 미리 치워 주시는게 좋으며

    곁에서 챙겨서 씹기를 유도해주셔야 합니다.

    식사 시간이 즐거울 수 있도록 분위기를 조성해 주시고 식기를 바꿔주거나

    단호하게 식사를 종료하는 것도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엄마 아빠가 아이 앞에서 음식을 먹는 모습을 자주 보여 주시기 바랍니다.

    그리고 올바른 식습관에 관련된 동화책을 자주 보여 주는 것도 좋으며

    관련 영상 자료 화면을 아이와 같이 보면서 밥은 이렇게 꼭 꼭 씹어서 먹는 거야 라고 지도해 주셔야 될 것 같아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