눈이 시리고 찬 바람 불면 눈물마저 납니다.
이제 나이들어서 그런가 하고 스스로 위로하며 지나가 보려고 합니다. 그런데 제일 힘든 증상은 눈이 부십니다. 밤에는 형광등을 켜도 눈이 부셔서 형광등 끄고 있어야 편안해집니다. 정상은 아닌거죠?
질문자님께서 말씀하시는 증상은 비특이적이기 때문에 특정한 원인이나 질병을 의심하기에 무리가 있습니다. 하지만 증상이 있는 만큼 관련하여 정밀 검사를 받고 정확한 상태 파악이 선행되어야 할 것으로 보입니다. 안과 진료를 보시고 필요한 검사 및 결과에 따른 치료를 받으시길 권유드립니다.
안녕하세요. 김승현 의사입니다.
안구 건조증의 원인은 다음과 같습니다.① 노화
가장 흔한 원인입니다. 정상적인 노화 현상에 의해 눈물의 분비량이나 눈물의 상태가 변합니다.② 동반 질환
류마티스성 관절염, 쇼그렌 증후군(입, 눈 등 몸 전체 점막에 염증이나 건조가 발생하는 류마티스 질환), 루프스, 공피증, 당뇨병, 비타민 A 결핍증 등의 질병이 있으면 눈물 생산량이 줄어듭니다.③ 만성 결막염
만성적인 염증에 의해 결막에서 점액 분비선 역할을 담당하는 술잔 세포들이 줄어들면 점액 분비량이 적어집니다. 이로 인해 수분을 점액층에 붙잡아 둘 수 없어서 눈물층 중 수성층이 눈물관을 통해 코로 흘러나가 버립니다.④ 갑상선 질환
갑상선기능항진증으로 인해 눈이 커져서 과도하게 눈물이 증발할 수 있습니다. 또는 갑상선기능저하증으로 인해 눈물 생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⑤ 여성호르몬 감소
갱년기 때 여성호르몬이 감소하여 눈물 생성이 줄어듭니다.⑥ 약물 복용
항생제, 항히스타민제, 이뇨제, 지사제, 스코포라민과 같은 부교감신경 차단제, 고혈압 치료를 위한 베타차단제, 수면제, 피임약, 일부 여드름 치료제, 일부 항우울제, 일부 마취제 등 눈물 생성을 감소시키는 약물 때문에 눈물이 마를 수 있습니다.⑦ 환경 요인
주위 환경이 건조하거나, 연기나 먼지 자극, 햇볕, 바람 등으로 눈이 자극되거나, 독서나 컴퓨터를 하면서 무의식중에 눈을 깜박이는 횟수가 줄어들면 안구 건조증이 생기기 쉽습니다.⑧ 기타
방사선이나 염증으로 인한 눈물샘 손상, 각막의 예민성 감소, 과도한 눈물 증발, 눈꺼풀 문제(눈꺼풀 속말림, 눈꺼풀 겉말림, 눈꺼풀염) 등으로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① 인공 누액을 통한 눈물 공급
안구 건조증의 가장 보편적인 치료 방법은 인공 누액을 이용하여 모자라는 눈물 성분을 공급해 주는 것입니다. 인공 누액을 항상 휴대하면서 불편감을 느낄 때마다 자주 점안하는 것이 좋습니다. 연고 형태, 안약과 연고의 중간 정도인 묽은 젤리 형태 등 여러 종류의 점안액이 있으므로, 자신의 눈에 편한 것을 고르는 것이 좋습니다. 안검염으로 인한 안구 건조증에는 IPL 치료가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② 눈꺼풀 청소
눈꺼풀 청소는 눈물의 지방층을 회복시켜 눈물의 증발을 줄이고 안구 건조증을 호전시킬 수 있습니다. 면봉에 깨끗한 식염수나 안과에서 처방받은 연고를 발라서, 속눈썹이 나오는 부위를 하루 2~3회 정도 닦아 줍니다.③ 눈물점 폐쇄
눈물이 배출되는 눈물점을 막으면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이때 안구 건조증 정도에 따라 아래쪽 또는 위, 아래 모두를 막을 수도 있고, 일시적 또는 영구적으로 막을 수도 있습니다. 눈물점을 제거할 수 있는 기구를 삽입할 수 있고, 전기로 소작하는 방법도 있습니다.약물 요법을 시행하면서 환경 요인에 신경 써야 합니다. 먼지가 많은 작업장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조한 곳에는 가습기를 틀어서 공기를 습하게 만들어 주는 것이 효과적입니다. 장시간 독서나 운전, 컴퓨터 작업을 할 때는 자주 눈을 깜박이거나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알레르기성 결막염, 안검염 등이 동반되었을 때에는 이에 대한 치료를 병행하여야 합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김승현 의사 드림
안녕하세요. 김경태 의사입니다. 스마트폰, TV 시청시 꼭 중간에 5~10분가량은 휴식을 취하시길 권유드립니다.
안구운동도 함께 병행해 주시고, 증상이 있을 때는 일회용 인공눈물을 사용하셔서 대증치료 하시기 바랍니다. 반드시 안과 방문하셔서 검진 받아보시기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김명중 의사입니다.
안구건조증의 가능성이 있습니다. 눈부심의 증상이 있다면, 각막에 손상은 없는지 안과에서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구 건조증의 증상이 있을 때는 적절히 인공눈물을 사용하여 증상을 호전시키고, 장기간의 스마트폰 사용, 컴퓨터 작업, 독서 등을 피하면서 휴식을 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안과에서 진료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쾌유를 빕니다.
안녕하세요. 김민부 한의사입니다.
안구 건조로 인해 각막에 미세한 상처들이 생기면 형광등과 같은 등화류에 눈이 부시는 현상이 생깁니다.
아주 심하면 안과에서 약을 처방받으셔서 넣는 방법이 있고,
보통은 인공눈물 등을 사용해서 눈을 촉촉하게 해 주는 방법이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서민석 의사입니다.
눈이 자주 부시고 시야가 흐리다면 노화와 관련된 백내장일 가능성이 높습니다. 찬 바람에 의해 눈물이 많이나고 평소에 건조함을 느낀다면 안구 건조가 동반된 것일 수 있구요. 결론적으로 정상적인 것은 아닙니다. 불편하시다면 이상 여부를 안과에서 정확히 확인해 보시는 것이 필요합니다.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코로나 카테고리에서 활동중인 전문의입니다.
상기 증상이 지속될 때에는 정상은 아닌것으로 보입니다.
가까운 안과를 방문하시길 권해드립니다.
참조하시어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안중구 의사입니다. 신경학적 증상의 일부일수도 있고 단순노화로 인한 증상일 수 있습니다 말초신경질환을 악화시키는 당뇨 등의 위험 요소가 있는지 확인해 보시는 것을 권유 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