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치과 이미지
치과건강상담
고혹적인물소239
고혹적인물소23924.03.15

인접면충치 신경치료 후 본뜨기

안녕하세요

이번에 치과다녀와서 궁금한점이 있어 문의남깁니다.

어금니쪽 인접면 충치로 인해 하나는 인레이, 다른 하나는 신경치료 후 크라운 들어갔습니다.

둘다 지르로 가는것 같은데 이걸 연결해서 본뜨면

연결된 형태로 씌어지는것인가요?

이게 맞는 치료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철진 치과의사입니다.

    서로 연결되게 제작하는건 아닙니다. 크라운 따로 인레이 따로 제작을 해서 셋팅을 하게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석민 치과의사입니다.

    보통은 싱글 크라운 2개는 연결하여 2-unit 브릿지 형태로 제작하는 경우도 있긴 하지만 인레이와 크라운은 연결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송우식 치과의사입니다.

    연결된 형태로 씌우는 것은아니며, 인레이와 크라운은 따로 제작되어 부착되게 됩니다. 인레이는 치아 일부분만을 떼우는 것이며, 크라운은 치아 전체를 덮어 씌우는 치료입니다.

    궁금증 해소에 도움이 되시길 바라며, 도움이 되신 경우 '추천' 부탁드립니다.


  • 안녕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입니다.

    연결해서 본을 뜨더라도 인레이와 크라운은 연결하지 않습니다. 본을 뜰 때 같이 뜨는 것일 뿐 각각 보철물이 나온다고 보시면 됩니다. 어떠한 경우라도 인레이와 크라운을 연결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아무쪼록 저의 답변이 문제 해결에 작게 나마 도움이 될 수 있기를 기원드립니다. 항상 건강하고, 행복하세요^^

    정진석 치과의사 드림


  • 안녕하세요. 김지훈 치과의사입니다.

    연결 된 형태로 제작하지 않습니다. 본만 같이 뜨는 것이며 각각 제작해서 각각 씌우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안상우 치과의사입니다.

    2개의 치아를 연결해서 씌우게 되면 치아 사이에 이물질이 끼지 않고 치아가 좀 더 단단하게 버틸 수 있습니다. 하지만 나중에 치료한 문제가 되었다면 2개의 보철물을 동시에 벗겨야 하는 경우가 생기는 경우도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