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rogermaan
rogermaan23.04.28

신탁통치반대운동은 무엇을 반대하는 운동인지 알고 싶습니다?

신탁통치반대운동이 현대사에 한때 있었는데요. 학창시절 이름은 들어 보았으나 구체적으로 무엇을 반대한다는 내용 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황정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의 식민지에서 벗어났더니 이번에는 다른 나라의 식민지가 되는 것이냐며 신탁통치를 반대했지만

    내막은 그 의미를 자세히 모르고 반대했던 것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4.28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1945년 8월 15일 한국은 광복되었지만 남·북한을 미·소 양군이 점령함으로써 통일정부의 수립이 요원하게 되자 1945년 12월 27일 모스크바협정에서 '한국에 미·소 공동위원회를 설치하고, 일정 기간의 신탁통치 문제를 협의한다'라고 하였다. 이를 위하여 미·소 공동위원회가 곧 서울에서 열린다는 외신보도가 있었고 즉시 독립정부의 수립을 갈망해온 전국민은 이에 분노했다. 따라서 그해 12월 30일에 반탁전국대회(反託全國大會)를 열고 100여 개의 애국사회단체(愛國社會團體)와 정당의 이름으로 신탁통치를 반대한다는 성명을 발표하였다. 12월 31일에 권동진(權東鎭)을 위원장, 안재홍(安在鴻)·김준연(金俊淵)을 부위원장으로 추대하여 신탁통치반대국민총동원위원회(信託統治反對國民總動員委員會)를 조직하고 반탁시위대회를 전개하였다.

    신탁통치에 대한 반응은 북한에서도 마찬가지였다. 조만식(曺晩植)을 중심으로 한 조선민주당(朝鮮民主黨)의 주도로 광범한 반탁운동이 전개되었고, 공산주의자들도 반탁의 뜻을 명백히 하였다. 그러나 소련이 ‘삼상회의의 결정에 반대하는 세력은 후에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에 참여할 수 없다'고 주장하자 공산주의자들은 찬탁(贊託)으로 나서게 되었다.

    [네이버 지식백과] 신탁통치반대운동 [信託統治反對運動] (두산백과 두피디아, 두산백과)


  •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는 1945년 12월 16~26일까지 소련의 모스크바에서

    미국, 영국, 소련, 중국의 4개국이 한반도를 최고 5년간 신탁 통치하겠다는 결정을 합니다.

    한국이 자체적으로 통치할 능력이 없기 때문에 4개국이 위임하여 통치하겠다는 뜻입니다.

    이에 찬탁(신탁통치 찬성)과 반탁(신탁통치 반대)이 발생하면서 서로 대립하게 되었고,

    결국 남북으로 분단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주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신탁통치는 1945년 12월 미국/영국/소련이

    한국이 (일제통치후니까,,) 자립할 능력이 생길 때까지

    최대 5년간 통치한다는 내용이었는데요.

    우리민족 중 이것은 제2의 식민지배가 아니냐는식의

    생각을 가진 사람들이 신탁통치 반대 즉, 반탁운동을 벌이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모스크바 3국 의상 회의에서 결정한 신탁통치안에 대해 반대하던 국민운동으로 신탁통치란 스스로 나라를 다스릴 능력이 없는 경우에 다른 나라가 대신 통치한다는 것으로 모스크바 3국 외상 회의의 결정 사항은 우리 국민들 사이에서 신탁통치에 대한 찬성과 반대의 입장이 엇갈려 시행되지는 못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