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학문

생물·생명

비둘기
비둘기

머리가 안돌아갈때 단음식을 섭취하면 두뇌회전이 빨라진다는데 과학적근거가 있는 말인가요?

제목 그대로의 내용이 궁금하여 질문드립니다.


머리가 안돌아갈때 단음식을 섭취하면 두뇌회전이 빨라진다는데 과학적근거가 있는 말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뇌가 가장 선호하는 형태의 에너지원은 바로 포도당입니다.

    사탕이나 초콜릿등은 대부분 단당류나 이당류로구성되어 복잡한 소화작용을 거칠필요없이 바로 포도당공급이 가능합니다.

    즉, 먹자마자 뇌가 활발히 활동하기위한 양분으로 사용될 수 있는 재료들입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설효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뇌세포는 에너지원으로 포도당을 사용하는데요. 그럴려면 그 공급원이 필요합니다. 그 공급원은 탄수화물과 당류입니다. 그래서 일반 정제된 설탕이나 이런 당류 말고 과일즙에있는 과당이런걸 공급해야지 머리 회전이 좋아진다고 하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단 음식이 먹으면 뇌에 급속도로 에너지가 공급되어 일시적으로 기분이 좋아지는 현상은 있지만, 뇌 회전력과는 직접적인 관련성이 없습니다.

    뇌 회전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영양소가 풍부한 식사를 규칙적으로 섭취하고 충분한 수면과 운동, 적절한 스트레스 관리가 필요합니다. 단 음식을 너무 많이 먹으면 오히려 혈당 수치가 급격하게 상승하여 졸음이 올 수 있고, 장기적으로는 건강에도 해로울 수 있으니 적절한 양과 빈도로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두뇌회전이 빨라진다는 의미 보다는 당분으로 인해서 순간적인 체력이 좋아지는 느낌이 들기 때문에 머리가 더 선명해지는 느낌이 드는 겁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경욱 과학전문가입니다.

    단순한 단음식이 먹히면 혈당이 급격하게 상승하고, 이는 인슐린의 분비 촉진과 관련이 있습니다. 이러한 인슐린의 분비 촉진은 뇌에서 세로토닌과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뇌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촉진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일시적으로 뇌기능이 향상되어 머리가 좀 더 돌아가는 것처럼 느껴질 수 있지만, 장기적으로 단순한 단음식만을 먹는 것이 뇌 기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지에 대해서는 아직 불분명한 점이 많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단 음식을 먹으면 뇌가 더 잘 돌아간다는 주장은 일부에서 나오고 있지만, 이에 대한 과학적인 근거는 충분하지 않습니다.

    사실, 뇌는 단 음식에 대한 대사 과정에서 가장 많은 열량을 소비하지 않습니다. 뇌는 대부분의 에너지를 포도당과 같은 당류나 혈당에서 얻습니다. 그러므로, 혈당이 낮아지면 뇌 기능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혈당을 높이는 가장 좋은 방법은 단 음식이 아니라, 복합탄수화물과 단백질이 포함된 식사를 섭취하는 것입니다. 이는 혈당을 천천히 유지시켜서 에너지가 더 오래 지속되도록 하기 때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