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태평한관수리81
태평한관수리8124.03.23

바나나는 어떻게 나무에서 떨어져도 익는건가요?

바나나를 제배할때는 일부러 익지 않은 초록색 바나나를 수확하면 배송할때까지 어느 정도 익는다는 말을 듣고 신기해했는데

바나나는 어떻게 나무에서 떨어져도 익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바나나의 경우에는 나무에 달려 있을 경우에는 오히려 숙성이 되는 정도가 적다고 합니다. 나무에 있으면서 속도를 조절 하는것인데, 이때 나무에서 떨어지면 이것을 조절하지 못하고 빠르게 가스가 나온다고 합니다. 이 가스가 빠르게 나오면서 바나나는 빠르게 익어버려서 떨어지는 바나나의 경우 보통은 검정색으로 변한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충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나나는 익을 때 에틸렌이라는 가스를 방출합니다. 이 가스는 과일의 성숙을 촉진하는 식물 호르몬입니다. 바나나를 높은 곳에 걸어두면 바나나의 피부에 존재하는 에틸렌이 더 높은 농도로 증발하여 바나나가 천천히 익게 됩니다. 또한, 바나나를 높이 걸어두면 바나나가 바닥에 닿지 않아서 부패를 방지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오래 먹기 위해서는 높은 곳에 걸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나나는 수확 당시에는 아직 완전히 익지 않은 초록색 상태이지만, 나무에서 떨어진 후에도 일정한 온도와 습도 조건에서 자연적인 과정을 통해 익게 됩니다. 바나나는 에틸렌 가스를 방출하여 자체적으로 숙성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나나의 열매를 수확하면 수확과 동시에 에틸렌가스가 발생하는데요 이 에틸렌가스가 발생이 되면서 껍질의 녹색 클로로필 색소를 분해하여 노랗게 익어가고 이후 갈색으로 변하게 되는데요. 빨리 익히고 싶으면 봉지에 담나놓고 에틸렌가스가 증발하지 않도록 하면 빨리 익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철승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나나는 에틸렌이라는

    식물 호르몬의 작용으로 익습니다

    에틸렌은 천연 가스로서 과일의 성숙과 숙성을 조절

    하는 역할을 합니다.

    바나나가 나무에 열매를 맺으면 에틸렌 생산량이 증가하기

    시작합니다.

    에틸렌은 과육을 부드럽게 만들고 전분을 당으로 분해하며 색소

    변화를 유발합니다.

    바나나를 수확하면 에틸렌 생산

    량이 더욱 증가

    합니다.

    이는 바나나가 스트레스를 받기 때문입니다.

    수확 후 바나나가 익는 속도는 온도

    습도 에틸렌 농도에 따라 달라집니다.

    일반적으로 온도가 높고 습도가 높고

    에틸렌 농도가 높을수록 더 빨리 익습니다.

    바나나를 일부러 익지 않은 초록색 상태로 수확하

    는 이유는 배송 과정에서 손상을 줄이고

    유통 기한을 늘리기

    위함입니다.

    완숙된

    바나나는 부드러워서 쉽게 으깨지고 상할 가능성이 높습니다.

    반면에 초록색 바나나는 단단하고 덜 익어 있기 때문에

    운송 과정에서

    견딜 수 있습니다.

    일부 바나나 생산자는 인공적으로 에

    틸렌을 처리하

    여 바나나를 익힙니다.

    이 방법은 빠르고 효율적이지만 인공적인 맛과 향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에틸렌 처리 과정에서 과일의 영양소가 파괴될 수 있습니다.

    자연적인 숙성 과정을 통해 익은 바나나는 인공적으로 익

    힌 바나나보다 더 달콤하고 향긋합니다.

    영양소 파괴가 적습니다.

    자연적인 숙성 과정은 더 많은 시간이 걸리고

    과일 손실 가능성이 높습니다.

    바나나는 나무에서 떨어져도 에틸렌 호르몬의 작용으로

    익습니다. 수확 시기 온도 습도 에틸렌 농도

    등에 따라 숙성 속도가 달라집니다.

    인공적인 에틸렌 처리 방법은 빠르지만 자연적인

    숙성 과정을 통해 익은 바나나가 더 맛있고 영양가가 높습니다.

    답변이 마음에 드신다면 좋아요와 추천을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