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잘난나무늘보98
잘난나무늘보9823.07.09

지구 외의 행성을 발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요?

우주과학자들은 계속해서 행성을 발견하잖아요?? 그럼 그 행성들은 어떻게 과학자들이 발견을 하는건가요?? 직접 가보진 못할테고...망원경으로 찾는걸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1. 추적법: 행성이 그 주위를 도는 별의 속도 변화를 측정하여 행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2. 트랜짓법: 행성이 별 앞을 가로지르면서 발생하는 빛의 양의 변화를 측정하여 행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3. 마이크로렌즈법: 중력 렌즈 효과를 이용하여 행성이 있는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4. 직접 관측법: 행성을 바로 관측하여 행성의 존재 여부를 확인하는 방법입니다.


  • 안녕하세요. 박준희 과학전문가입니다.


    대표적인 두가지 방법은

    첫 번째는 행성이 우연히 별 앞을 지날 때 별의 광도가 변화하는 것을 정밀 분석하는 방법입니딘. 밝기 변화가 일어났을 때 흑점이나 별 표면에서 일어나는 다른 현상에 의한 것이 아니라면 간접적이나마 행성이 있다고 말할 수 있죠. 행성이 밝다면, 행성이 직접 별을 가리지 않더라도 행성의 위치에 따라 별과 행성을 합한 밝기가 변화하므로 행성의 존재를 유추해낼 수 있습니다. 즉 행성은 스스로 빛을 내지 못하고 별의 빛을 받아 빛나므로 행성이 별 주위를 돌면서 별빛을 가리면 어둡고, 별빛을 반사해 별빛에 광도를 더하면 밝아지는 광도 변화를 추적해 내는 것입니다.


    두 번째는 도플러 효과를 이용하는 방법입니다. 질량이 큰 행성이 별 주위에 있으면 그 행성의 중력에 의해 미약하나마 별도 움직이게 되죠. 따라서 스펙트럼을 측정해 보면 적색편이와 청색편이가 주기적으로 일어나게 됩니다. 행성의 질량이 클수록 별이 도는 현상은 뚜렷이 나타나게 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