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대출 이미지
대출경제
뽀얀굴뚝새243
뽀얀굴뚝새24322.03.15

노후대책 플랜은 어떻게 해야 할까요?

30초반부터 노후대책을 하라고 전문가들이 얘기하는데,

40대부터 한다면 더 타이트하게 인생설계를 해야겠네요.

기본 국민연금과 개인연금 1개 정도인데

턱도 없을 것 같고 수입이 늘면 보완을 해야할것 같아요.

고수님들은 어떻게 노후대책을 하는지 궁금하고

조언을 주시면 참고하겠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지환 AFPK/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보통 은퇴설계를 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본인의 라이프 스타일입니다. 본인의 소비패턴에 따라 목표소득대체율이 달라지기 때문입니다. 보통 국제기구에서는 은퇴 후 소득대체율을 7~80%를 권고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배우자 유무, 자녀와의 동거여부, 주거지역 등을 반영하여 조정될 수 있습니다.

    보통 은퇴소득을 확보하기 위한 계획으로 크게 4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은퇴소득원 점검(은퇴 후 발생하는 정기적인 소득 ex. 연금), 소득대비 지출점검(본인의 소비 패턴을 점검하며 지출액이 적정한지 확인), 저축여력 점검(지출, 중복되는 보험 등 정리), 비상예비자금 점검(사고, 병으로 인한 비상금) 등을 생각해두셔야 합니다.

    연금 외의 다양한 노후대책으로 변액연금보험, 즉시연금, 적립식펀드, 주택연금 등이 있습니다. 본인에게 적합한 것을 찾아보시길 바랍니다.

    본인의 현금흐름표, 자산부채상태표를 작성해보시며 재무상태를 점검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 30대가 가장 돈이 많이 들어가는 부분입니다..결혼자금,주택마련,자녀양육비등 그에따른 노후자금까지 마련하기가 쉽지가 않습니다.

    물론 수입이 많다고 하시면 걱정할게 없겠지만, 각각 고정으로 나가는 비용과 앞으로 나가는 비용을 예측하여 별도로 자금을 마련하시고

    실손보험과,생명보험 각각 1개씩은 가입해 놓으면 좋을것 같습니다. 연금도 들어놓으면 좋겠지만 개인 자금여력에 따라 다르므로

    구체적인 입,출금을 모르고서는 플랜을 얘기해드리기가 어렵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7.18

    안녕하세요. 이정훈 심리상담사/경제·금융/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퇴직연금제도 추천드립니다. “퇴직연금제도”란 기업이 근로자의 노후소득보장과 생활안정을 위해 근로자 재직기간 중 사용자가 퇴직금 지급재원을 외부의 금융기관에 적립하고, 이를 사용자(기업) 또는 근로자의 지시에 따라 운용하여 근로자 퇴직시 연금 또는 일시금으로 지급하도록 하는 기업복지제도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