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생물·생명 이미지
생물·생명학문
누랭호랭
누랭호랭22.12.17

산호의 백화 현상은 왜 일어나나요?

산호초나 바다가 백화현상이 일어나서 생태계가 파괴되어 간다

라는 뉴스를 본 적이 있습니다.

백화현상이란 무엇이며, 왜 일어나고,

백화현상이 생태계를 파괴 시키는 원인은 무엇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강남선 과학전문가입니다.

    Q1: 백화현상이란 무엇인가요?

    A1: 연안 해역에서 해조류의 급격한 감소로 인해 해중림이 소실되는 현상으로 일반적으로 해조류가 사라진 자리에는 무절석회조류가 번성하여 암반표면이 백색으로 변하기 때문에 백화현상이라 합니다.

    Q2: 왜 일어나고

    A2: 원인은 복합적인 원인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 해조류와 경쟁하거나 해조류를 포식하는 분홍멍게 같은 해양생물의 급격한 번식으로 해조류의 개체수가 급감하는 것이다

    한반도 동해안의 경우, 1990년대 후반에 값싼 중국산에 밀려 성게의 대일수출이 막히면서 성게 채집량이 급감한 것이 백화현상의 주범으로 지목되고 있습니다.

    그 외에도 독가시치나 전복 등이 거론되기도 하고, 일본 기이 지방이나 시코쿠의 경우에는 어류의 과잉식해로 해조류가 감소한 사례도 있습니다.

    또다른 원인은 화학적인 원인으로, 해수에 용해되어 있던 탄산칼슘이 고체화되어 해수에 떠다니거나 해저표면에 내려앉는 것입니다.

    콘크리트 재질의 방파제나 테트라포드 등 인공구조물은 해수에 다량의 탄산이온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육지로부터 콘크리트 잔해나 건축폐기물, 공업화에 따른 대기의 이산화탄소 증가 또한 같은 결과를 낳습니다

    이렇게 탄산이온이 과잉공급된 표층수에 지형적 또는 기후적인 원인으로 칼슘이온이 풍부한 저층수가 솟아올라 혼합되면,

    두 이온이 결합하여 탄산칼슘 결정을 이루는데 고체화된 탄산칼슘이 해수를 뿌옇게 만들어 일광투과율을 낮추거나 해저표면을 덮어 해조류의 서식을 방해하게 되는 것이다.

    그 외에도 해양오염, 담수의 급격한 유입, 수온상승, 해류의 변화로 인해 해조류의 번식에 필요한 영양염류의 저하 등,

    어떠한 원인으로든 해조류의 식생을 불량하게 하는 현상이 발생하면 모두 백화현상의 원인으로 지목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연구결과마다 진단이 분분한 상황입니다.

    자료 출처:

    https://namu.wiki/w/%EB%B0%B1%ED%99%94%ED%98%84%EC%83%81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2.17

    산호백화현상의 가장 큰원인은 지구 온난화로 인하 수온상승입니다.

    산호는 몸속에 공생조류를 간직하고 있으며, 공생조류와 서로 공생하는 역할을 합니다.

    수온이 상승하게 되면 이러한 공생조류가 산호에게 독이 되는 물질을 생성하게 되고 산호는 독을 피하고자 공생조류를 배출하게 되며 이로인해 백화현상이 발생됩니다.

    산호들이 죽게되면 해양생물들의 보금자리가 없어지게 되어 해양생태계에 많은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육지로 보면 나무가 다 죽어 산이 없어진다고 보시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송종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 바다의 거대한 산호초 생태계를 형성하는 산호는 조직 내에 살면서 산호에 색소를 주는 황록공생조류라고 불리는 조류 유사 단세포 편모 원생 동물과의 공생관계에 있다.


    황록공생조류는 깨끗하고 영양분이 부족한 열대 바다에서 중요한 요소인 광합성을 통해 산호에 영양분을 공급하고, 그 대신 산호는 광합성에 필요한 이산화탄소와 암모늄을 황록공생조류에게 제공한다. 부정적인 환경 조건들은 산호가 황록공생조류가 필요로 하는 것을 제공하는 능력을 제대로 발휘할 수 없도록 한다.

    이런 경우, 산호 폴립은 단기적 생존을 위해 황록공생조류를 몰아낸다. 이로 인해 산호는 더 밝은 흰색이 되거나 완전히 하얀색으로 되기 때문에 '백화'라는 용어를 사용한다[9](그림 1, 2). 황록공생조류가 광합성 산물을 통해 산호가 필요로 하는 에너지의 90%를 제공하기 때문에, 황록공생조류를 몰아낸 후 산호는 영양분 공급이 중단될 수 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백화현상이란 그 이름처럼 산호가 하얗게 변하며 죽어가는 현상입니다.

    산호는 온도에 상당히 민감한 생물생존온도는 20~28도정도입니다.

    하지만 온도가 18도 아래로 떨어지거나 30도 이상으로 올라가는 경우 산호는 조류를 내보내고 하얗게 변하게 됩니다.

    이후로도 온도가 생존온도에 들어가지 못하면 그대로 죽고 마는 것이죠.

    산호는 수생생물의 서식처가 되어주기에 서식처가 파되되면 생태계가 무너질 수 있습니다.


  • 산호 백화현상은 산호가 살아있는 조직을 배출할 때 발생하는 현상으로, 대개 비정상적으로 따뜻한 해양의 수온때문에 기인한다.

    연구팀에 따르면 산호초는 생태계의 초석이기 때문에 백화현상이 길어질수록 전체 생태계에 심각한 손상을 초래할 수 있다. 특히 해산물, 관광 및 해안선 보호에 의존하는 지역일수록 파급 효과가 크다.

    출처 : 그린포스트코리아(http://www.greenpostkorea.co.kr)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산호의 백화현상은 지구 온난화와 해수의 산성화, 오염물질등에 의해서 발생합니다.

    산호는 20~28도 정도에서 잘 자라는데요, 18도 이하가 되거나, 30도 이상의 온도가 되면 산호가 가지고 있던 조류들을 내보내서 자신을 하얗게 백화시킵니다. 이 상태가 계속되면 죽게 됩니다.

    산호는 공기중의 탄소를 산호의 형태로 잡아두는 바닷속의 거대한 숲이라고 볼 수 있는데,
    이러한 산호초지대가 사라진다는 것은 온실가스인 탄소를 잡아둘 수 있는 공간이 줄어든다는 의미이므로,
    이와 연쇄적으로 생태계에 위협이 되기도 합니다. 또한 작은 물고기들의 은닉처이기도 하구요.

    감사합니다.


  • 백화현상은 바다 주변의 암반 지역에서 해조류가 사라지는 현상입니다.

    해조류가 사라지면서 석회 조류가 암반에 달라붙어 흰색으로 보이게 됩니다.

    백화현상이 나타나는 이유는 채취할 해조류, 산호가 사라지기 때문에 바다의 생태계가 점점 무너져서 입니다.

    또는 해조류를 먹는 성게가 너무 많거나, 난류 등에 의해 해수의 수온 상승 등이 원인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