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생활꿀팁 이미지
생활꿀팁생활
오늘도내일도모레도
오늘도내일도모레도20.08.06

감기는 매년 걸리는데 왜 감기는 계속 걸리게되나요?

감기는 면역력이 약한 사람은 매년 걸리곤하는데 감기는 왜 한번 걸리고 나서 항체같은게 생기지 않는건가요?

왜 감기는 약을 먹어도 그때밖에 효과가 없는건가요?

아니면 아직 제대로 된 약이 없는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감기 바이러스에 대한 약은 질문자님의 생각처럼 없습니다.

    병원에서 처방받는 약은 바이러스를 치료하는 약이 아니라, 열을 내리고 가래를 삭히고 기침을 완화시키는 그런 약입니다. 감기의 치료는 전적으로 우리몸의 면역계가 합니다. 감기 예방 차원에서 감기약을 미리 복용하기도 하는데 이는 잘못된 상식입니다.

    감기바이러스의 약이 없는 이유는 두가지가 있습니다.

    첫째, 감기라는 질병은 특정 바이러스가 원인이 아닙니다. 현재 감기의 원인으로 발견된 바이러스의 수만 200종류가 넘습니다. 최근 유행하는 코로나바이러스도 감기의 원인 바이러스 중 하나 입니다.

    둘째, 감기 바이러스는 변종이 많습니다. 특정 기간 동안 특정 지역의 감기바이러스 변종의 수를 조사하는 연구가 있습니다. 이 연구에서 특정 바이러스의 변종이 90개가 넘게 발견되기도 합니다.

    감기에 걸리면 당연히 항체가 생깁니다. 하지만 원인 바이러스의 수가 많고 변종이 많아서 생겼던 항체가 소용이 없습니다.

    감기의 한 종류인 covid-19의 경우 치료제와 백신을 만들기 위해 전 세계에서 노력하는 모습을 볼 수 있습니다. 왜냐하면 일반적인 감기는 너무 흔하고 건강한 사람은 아픈지도 모르고 지나가는 전염병입니다. 하지만 그중에 정말 강력한 바이러스가 유행을 하면 드디어 특정 바이러스를 목표한 약을 만들게 됩니다.

    참고

    https://virologydownunder.com/how-many-cold-viruses-in-one-place-in-one-season/


  • 감기의 원인이 단일 원인체에 의해서 일어나는게 아니기 때문입니다.

    즉, 올해 터진 감기는 레오바이러스에 의해, 작년 감기는 코로나로인해, 내년감기는 인플루엔자에 의해 유발 될 수 있고 각각의 바이러스는 다양한 아종이 있을 수 있으니까요.

    인플루엔자만 하여도 이론적으로 수백가지의 아형이 있을 수 있는데 축약해서 100개만 된다 하여도 모든 인플루엔자 아형의 항체를 모두 자연적으로 습득하기 위해 1년에 1번씩 감기에 걸려도 100년이 필요합니다.

    즉, 아무리 감염되고 예방을 하여도 감기에는 걸릴 수 있다는 것이죠.


  • 감기 바이러스는 백신이 개발되어도 다시 변이하여 매년 걸리게된다고 들었습니다

    그래서 백신도 매년 바뀐다고하네요

    정기적으로 예방주사 맞는 것도 변형된 바이러스에 맞게 개발된 백신을 맞는것이라 할 수 있겠습니다

    그래서 여름만되면 혹은 겨울에 항상 감기 걸리는사람은 변형된 감기바이러스에 계속 걸리는 것입니다


  • 감기가 걸리면 병원에 가서 '감기약'을 처방 받아 복용합니다.

    하지만 사실 우리가 '감기약'이라고 말하는 그 약은 감기약이 아닙니다. 감기로 인한 고통을 완화시켜주는 것일 뿐 감기를 치료하는 약은 아닌 것입니다.

    그래서 이런 우스갯소리도 있습니다.

    감기가 걸렸을 때 감기약을 처방받아 먹으면 낫는데 14일이 걸리고, 감기약을 먹지 않으면 2주가 걸린다구요.

    감기를 일으키는 원인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그 수많은 원인을 제거할 수 있는 치료약은 아직 없습니다. 감기를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200개가 넘는다고 합니다.

    감기라고 하기에는 엄청 고통스러운 감기 '독감'의 경우에는 매년 가을 백신을 접종합니다. 독감백신은 WHO가 매년 그 해에 유행할 가능성이 큰 독감바이러스 종류를 3개정도 예측을 하고 그에 맞는 백신을 생산, 접종하는 것입니다. (3가 백신이라고 하면 3개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형성시켜 주는 것이고, 4가라고 하면 4개 종류의 독감 바이러스에 대한 항체를 형성시켜 줍니다.)

    그런데 만약 이 예측이 빗나간다면 그 해 겨울은 독감환자들이 아주 많이 발생하겠지요.

    독감에 대해서도 치료약은 없습니다. 증상을 완화해 주는 약이 있을 뿐입니다.


  • 감기는 바이러스성 질환입니다. 그러니까 지금 코로나바이러스의 사촌정도 되는 질환입니다.

    그래서 치료제가 없습니다. 이런얘길 하면 감기걸렸을때 먹는 감기약은 뭐냐 라고 물어보실텐데, 그것은 증상을 완화시켜주는 것이 불과합니다. 실질적으로 우리 몸이 스스로 이겨내는데, 약간의 도움을 주는 역할을 할뿐입니다.

    또한 바이러스의 무서운 점은 항상 변이가 발생을 하기때문인데, 이번 코로나바이러스도 백신이 나왔다고는 하지만 변이가 워낙 많아 앞으로 어떻게 될지 는 장담하기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