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김종서는 1383년 충남 공주에서 무관 김추의 아들로 태어났으며 1405년 문과에 급제, 1419년 사간원우정언으로 등용되고 이어 지평, 집의 , 우부대언을 지냈습니다.
1433년 함길도도관찰사가 되어 두만강과 압록강 일대에 출몰하는 여진족들의 침입을 격퇴하고 6진을 설치해 두만강을 경계로 국경선을 확장, 1435년 함길도 병마도절제사를 겸직하면서 확장된 영토에 조선인을 정착시켰고 북방의 경계와 수비를 7년동안 맡았습니다.
여진족들의 정세를 탐지, 보고하고 그에 대한 대비로 비변책을 지어 건의, 세종의 명으로 변방에서 중앙의 관식을 맡으며 영향력을 가진 대신으로 역할했는데 1440년 형조판서로 승진하고 예조판서, 우참찬을 역임, 1449년 권제 등이 고친 고려사가 잘못되었다하여 왕명으로 개찬하게 되자 춘추관지사로 총책임을 맡아 1451년 간행했습니다. 그는 변방의 장수에서 역사서 편찬에도 능력을 발휘한 인물입니다.
평안도도절제사를 거쳐 1450년 좌찬성으로 평안도도체찰사를 겸하며 다음해 우의정에 오르고 1452년 세종실록의 총재관이 되었으며 고려사절요의 편찬을 감수하여 간행했습니다.
세종의 뒤를 이은 문종이 재위 2년 만에 죽자 영의정 황보인, 우의정 정분과 함께 좌의정으로서 문종의 마지막 유명을 받아 12세의 어린 단종을 보필, 대호라는 별호까지 붙은 지혜와 용맹을 겸비한 명신이었으나 왕위를 노리던 수양대군에 의해 1453년 두 아들과 함께 집에서 격살되고 대역모반죄라는 누명까지 쓰고 효시됨으로 계유정난의 첫 번째 희생자가 됩니다.
1746년 복관되었으며, 시조 2수가 전해지며, 저서에 제승방략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