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기의 사람을 판별하는 기준은 무엇인가요?
제 여자친구 조카를 자주보는건 아닌데 일주일에 한두번 보거나 못봐도 2주에 한번 이렇게 보는데 매번 제가 올때마다 반응이 다릅니다! 처음 저를 보게되면 어떨때는 엄청 좋아하고 어떨때는 엄청 싫어합니다! 가까이오지도 못하게해요 ! 이렇게 반응의 차이가 극단적인 이유가 무엇일까요?
저는 그냥 같이 놀아주고 맛잇는거 사주고 이것밖에는 안해요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어린 아이들은 자신의 애착 대상 외에는 다 거리감을 둡니다.
또한 자신의 컨디션에 따라서 상대방을 대하는 기준도 항상 다르기 때문에
아이의 행동 하나 하나에 너무 신경을 쓰지 않아도 됩니다.
항상 아이의 눈높이에서 놀아주고, 장난감으로 상호작용 놀이를 해주면 아이는 좋아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박상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개월수나 나이를 적어주시면 더 좋을 것 같습니다
아이가 낯을 가리는 시기인 것으로 추측할 수 있는데
나이가 몇살이냐에 따라 다를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성문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기분에 따라 다를 수도 있을 것 같네요
아이의 나이가 몇살인지 모르겠지만
낯을 가리거나 기분에 따라 반응이 다를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조카가 몇살일까요? 너무 크개 의미부여를 안하시는게 좋겠습니다. 아이의 기분에 따라 단순하게 행동하고 있는것으로 보여집니다. 좋은날은 아이의 기분이 좋거나 질문자님이 선물을 준비했을 때이고, 좋지 않은 날은 기분이 별로인날인거죠...
안녕하세요. 김준영 육아·아동 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의 기분(?)에 따라 조금 낯선 사람을 대할 때 다를 수 있습니다.
저희 집 조카 같은 경우에도, 질문자님과 마찬가지로 어떤 때에는 저를 너무나도 반기지만
어떨 때에는 몇 시간이 지나도록 저한테 오지 않고 낯을 가리기도 하지요.
조금 시간이 지나고 아이들이 성장 하면
그 낯가림도 완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의 컨디션에 따라서 다를수있습니다
성인도 그날그날 기분에 따라서 사람을 보는것이 다를수있듯이
아이역시 조금씩 다를수있습니다
다만 감정적으로 표현하는것이 성인보다 쉽지 않아서 위처럼보일수있을것이니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좋겠습니다.
안녕하세요. 이정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보통 2~3개월부터 7~8개월 정도까지의 시기로 이 시기 아이는 친숙한 사람을 구분하고 양육자에게 웃음을 자주 보입니다. 분명한 애착단계인 8개월부터 24개월까지의 시기에는 아이는 애착 대상을 적극적으로 좋아하고 다른 사람에게는 배타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이 특징입니다. 그리고 아이의 기질에 따라 차이가 나기도 합니다.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들이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는 부분은 성인과 비슷합니다.
자주 봐야 아이도 그 사람의 얼굴을 인식하고 그에 따른 반응을 보이는 것입니다.
가끔 보게 되는 경우 발생할 수 있는 상황이니 너무 걱정하지 마시고
아이를 자주 만나면서 스킨쉽도 하고 놀아준다면 얼굴을 기억할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기 또한 한마디로 기억력 등의 한계가 있고
자신의 기분 등에 따라서 질문자님에게 반응을
달리 보이는 것으로 보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