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고용·노동

휴일·휴가

비장한메추리235
비장한메추리235

사전 통보 지각 후의 잔업시간 계산은?

2시간 정도 미리 양해를 구하고 늦게 출근을 한 뒤

정시근무 종료 후 2시간 추가로 잔업을 했습니다.

그럼 잔업한 2시간은 연장 근로시간에 들어가나요? 아니면 2시간 늦게 출근했으니깐 정근으로 들어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새침한벌75
      새침한벌75

      안녕하세요? 아하(Aha) 노무상담 분야 전문가 노무법인천명입니다.

      문의 주신 내용에 대하여 하기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근로기준법상 명확한 내용은 없으나 하기 노동부 질의회시를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 2000.10.13, 근기 68207-3181 )

      [질의]
      취업규칙에 시업시간이 08:00이고, 종업시간이 19:00이며 무급 휴게시간이 12:00∼13:00라고 규정된 사업장에서 지금까지는 지각자들이 실제로 근무한 시간이 기본 8시간에 미치지 못하더라도 17:00∼19:00의 시간에 대하여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해 옴. 위 경우 3시간 지각출근하여 11:00∼19:00까지 근로무한 근로자에게 17:00∼19:00의 시간에 대하여 연장수당을 반드시 지급해야 하는지 여부

      [회시]
      법정근로시간을 초과하여 근로하는 경우에는 그 초과된 근로시간에 대하여는 근로기준법 제55조의 규정에 의한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함. 귀 질의의 경우와 같이 시업시간이 정해져 있음에도 근로자가 이를 준수하지 않고 지각을 하는 경우, 당사자 간에 당일의 시업 및 종업시간을 변경하지 않았다면 회사의 입장에서는 지각으로 인하여 근로를 제공하지 못한 시간에 대한 임금을 공제할 수 있고, 또한 단체협약이나 취업규칙 등에서 규정한 바에 따라 근무성적 불량 등에 대한 제재조치를 취할 수는 있을 것으로 사료됨. 상기 제재내용과는 별도로 귀사의 종업시간 이후에 근로한 시간에 대하여는 연장근로수당을 지급하여야 한다고 사료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