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인마다 고유의 지갑주소 양식이 있나요?
얼마 전 모 거래소에서 송금을 위해 지갑주소를 등록하는 중에 해당 코인의 주소가 아니라며 계속해서 주소 오류가 뜨는 경험을 하였습니다.
난수처럼 보이는 지갑주소에도 코인마다 고유의 규칙이 있어 주소만으로 어떤 코인인지 구분이 가능한지 궁금합니다.
- 안녕하세요. - 일반적인 비트코인의 주소는 1로 문자열이 시작됩니다. - 하지만 다중 서명을 사용하는 주소의 경우 3으로 된 문자열로 시작됩니다. - 이처럼 비트코인 안에서도 사용방식에 따라 주소를 구성하는 시작 문자열이 다르게됩니다. - 각 코인마다 고유의 규칙이 있으며, 그 규칙 내에서 SHA256과 RIPEMD160 해시 함수를 사용하여 주소를 생성하게 됩니다. - 주소를 발급해주는 중앙망이 없는 분산 네트워크 환경에서 생성되어 혹시 내가 만든 주소가 다른 사람과 같진 않을까 생각할 수 있습니다. 절대 그럴 수 없다고 장담할 수 없으나 같은 주소가 나오기 위해서는 로또 1등을 11번 연속으로 당첨되는 것과 같은 확률이라고 합니다. - 그리고 이더리움기반의 토큰의 경우 erc20기반으로 발행되어 이더리움 주소 하나를 통해 수많은 토큰들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비트코인 : 16~~~~~~~~~~~ - 16Qikexpg7UqPMz9Sr7kaNZTQihfAFjYHN - 이더리움 : 0x~~~~~~~~~~~~ - 0x481b4b860153e5e1885f2efeb0ff8835db3de2f0 - 큐텀 : Qg~~~~~~~~~~~~~~~~ - Qg5Afpndh3VurZB3oknbHZosEkcvLVQL4r 
 트론 : Th~~~~~~~~~~~~~~~~~~~~~~- THKsEWYsYhKqQmG7dqJXQ57451BngH5e2a - 리플 : re~~~~~~~~~~~~~~~~~~~~~~~ - rEb8TK3gBgk5auZkwc6sHnwrGVJH8DuaLh - 대표적인 단독 플랫폼(블록체인) 알고리즘을 가지고 있는 주소들에서 - 볼수 있듯 앞자리가 코인이름을 닮아 있습니다.(비트제외) 
 암호화방식과 독자 알고리즘 설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다른 플랫폼에 임대 안하고 독자 플랫폼을 가진 토큰 -> Coin- = 별도개발한 웹사이트 (시간/비용 오래걸림) - 다른 플랫폼에 기생?(임대)하여 서비스를 운영건 -> Token - = 템플릿 빌려주는 웹 빌더 공급업체 (시간/비용 절약 단,제약이 많음) - 부가적으로 잘 아시겠지만 - 입금 송금시 앞에 4자리 뒤에 4자리 항상 확인하고 - 입출금 하시면 전송에러는 없을거 같네요. 
 (초기 전송에러 희생자중 한명입니다 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