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연말정산 이미지
연말정산세금·세무
슬기로운비단벌레122
슬기로운비단벌레12223.01.22

환급금액 말고 내야 하는 금액은 분할 납부 가능한가요?

안녕하세요 연말정산에서 환급을 받지 못하고 다시 내야 하는 금액이 발생한다면 한꺼번에 내지 않고

분납으로 납부 가능 한가요?

절차가 따로 있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2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광교세무법인 삼성지점 이용연 세무사 입니다..

    근로자의 2022년 귀속 근로소득 연말정산시 회사에서 2023년 2월분 급여를 지급하는 시점에

    모든 근로자를 대상으로 연말정산을 실시하게 되고, 근로자별로 세액의 추가징수 또는 세액환급을

    하게 됩니다.

    이 경우 세액 추가징수가 발생하는 근로자에 대해서는 2023년 2월분 급여를 지급하면서 해당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추가징수할 세액을 2월분 급여 지급에서 징수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근로소득 연말정산 결과 세액 추가징수의 경우 근로자가 세액을 분납할 수 없는 것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된 경우 "좋아요 + 추천" 눌러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질의에 대한 답변입니다.

    연말정산 결과 추가 납부세액이 1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원천징수의무자는 해당 과세기간의 익년 2월분부터 4월분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까지 추가 납부세액을 분할하여 원천징수할 수 있으므로 이에 대해 회사 연말정산 담당자와 논의해 보시기 바랍니다.


    소득세법 제137조(근로소득세액의 연말정산)

    ① 원천징수의무자는 해당 과세기간의 다음 연도 2월분의 근로소득 또는 퇴직자의 퇴직하는 달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순서에 따라 계산한 소득세(이하 이 조에서 “추가 납부세액”이라 한다)를 원천징수한다.

    1. 근로소득자의 해당 과세기간(퇴직자의 경우 퇴직하는 날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이하 이 조에서 같다)의 근로소득금액에 그 근로소득자가 제140조에 따라 신고한 내용에 따라 종합소득공제를 적용하여 종합소득과세표준을 계산

    2. 제1호의 종합소득과세표준에 기본세율을 적용하여 종합소득산출세액을 계산

    3. 제2호의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해당 과세기간에 제134조제1항에 따라 원천징수한 세액, 외국납부세액공제, 근로소득세액공제, 자녀세액공제, 연금계좌세액공제 및 특별세액공제에 따른 공제세액을 공제하여 소득세를 계산

    ④ 제1항에도 불구하고 추가 납부세액이 10만원을 초과하는 경우 원천징수의무자는 해당 과세기간의 다음 연도 2월분부터 4월분의 근로소득을 지급할 때까지 추가 납부세액을 나누어 원천징수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