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 교류, 직류 모두 에디슨이 발견한건가요?
일상적으로 사용하는 전기 종류중에 교류전기, 직류전기가 있는데 전기를 발명한 에디슨이 이 모두를 발명한건가요? 교류 직류 역사가 어찌되나요?
안녕하세요. 설효훈 전문가입니다. 에디슨이 발견해서 사용하기 시작한것은 직류입니다. 그 후에 니콜라 테슬아에 의해서 교류가 발견 되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권창근 전문가입니다.
아니요! 에디슨은 직류(DC)를 활용한 전력 시스템을 개발했지만, 교류(AC)를 발명한 것은 니콜라 테슬라입니다.
직류(DC, Direct Current): 토머스 에디슨이 개발하여 1880년대 초반 전력 공급 시스템에 사용됨. 하지만 먼 거리 전송에 비효율적.
교류(AC, Alternating Current): 니콜라 테슬라가 연구했고, 조지 웨스팅하우스가 이를 상용화하여 장거리 송전에 적합한 방식으로 발전.
교류 vs 직류 전쟁: 1880~1890년대에 에디슨(직류)과 테슬라 & 웨스팅하우스(교류) 간의 전력 시스템 경쟁이 있었으며, 결국 교류가 승리하여 현재 대부분의 전력 공급이 교류로 이루어짐.
지금 우리가 사용하는 전기는 대부분 교류(AC)지만, 배터리나 전자기기 내부에서는 직류(DC)가 사용됨.
안녕하세요. 과학 전문가입니다.
에디슨은 전구를 발명한거고 전기는 탈레스가 발명했습니다.
직류를 발명했다기보다는 이용해서 전구를 발명했습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에디슨은 직류 발전소를 세웠고 니콜라 테슬라가 교류 시스템을 고안했습니다.
이는 1882년 교류 시스템으로 1888년 교유 유동전동기를 발명하였습니다.
에디슨은 교류 방식을 반대 했으나 교류 방식은 효율성과 경제성이 뛰어나서
교류를 사용하게 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전찬일 전문가입니다.
에디슨은 DC(직류) 시스템을 실용화 하는데 많은 기여를 했고, 니콜라 테슬라와 조지 웨스팅하우스가 AC(교류) 시스템을 발전시킨 대표적인 인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전기의 발견 18세기 ~19세기 초에, 벤저민 프랭클린이 연 날리기 실험을 통해 번개가 전기라는 것을 증명하고, 알렉산드로 볼타가 최초의 전지를 발명하여 직류 공급이 가능해집니다. 또한 패러데이는 전자기 유도를 발견하여 발전기 원리를 정리하였죠.
1870~80년대 에디슨이 직류 시스템을 개발, 1880~1890년대 니콜라 테슬라가 교류 시스템을 개발하였는데요.
결국 장거리 전송에 유리하고 효율성이 높은 교류 방식의 시스템이 표준이되었습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훈 전문가입니다.
에디슨은 전기를 발명한 것이 아니라 직류 시스템을 개발하고 사용화0했습니다 교류 전기의 상용화는 니콜라 테슬라와 조지 웨스팅하우스의 기여로 이루어 졌습니다 에디슨과 테슬라는 교류와 직류의 상용화 과정에서 경쟁을 벌였고, 결국 교류가 더 효율적이고 널리 사용되는 방식으로 자리잡았습니다.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교류 전기와 직류 전기를 모두 발명한 것은 에디슨이 아닙니다. 에디슨은 직류 전기 시스템의 개발에 중요한 역할을 했지만, 교류 전기의 발전과 보급은 니콜라 테슬라와 조지 웨스팅하우스에 의해 주도되었습니다. 에디슨은 직류 전기의 안전성과 효율성을 주장하며 초기에 널리 보급했지만, 장거리 전송에 더 유리한 교류 전기를 선호한 테슬라와 웨스팅하우스와의 경쟁이 발생했습니다. 이 과정에서 "전류 전쟁"이라 불리는 격렬한 상업적 경쟁이 있었죠. 결국 교류 전기는 송전 효율성 덕분에 오늘날의 주된 전력 전송 방식으로 자리 잡게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