습공기 선도에서 표시되는 열수분비라는 팩터는 정확히 뭘 의미하고 어디쓰이나?
공기조화 부하계산 및 공기조화기 설계를 함에 있어서
습공기 선도는 필수적이라 하겠는데요.
공기의 기본적인 두 상태만 알면
나머지 상태를 볼 수 있도록 되어있는 걸로 압니다.
보통 온도와 상대 습도 및 온도와 절대습도 치를 알면
그에 따른 공기의 상태점이 찍히게 되는데요.
온도 상대습도, 절대습도 까지는 알겠는데
습공기 선도에 보변
열 수분비가 표시되는 걸로 나오는데요.
이게 정확하게 어떤 의미를 가지는 건가요?
그리고 열수분비는 공조설계를 함에 있어서
어떻게 적용해서 쓰이게되나요?
안녕하세요. 김민규 전문가입니다.
0 에 가까울 수록 제습, 1 에 가까울수록 난방이라는 정보를 주게 됩니다. 이를 통해서 주로 코일 용량을 선정하거나 덕트 설계 및 공기량 설정을 위한 이론치로 사용되죠.
안녕하세요. 서종현 전문가입니다.
습공기 선도에서 나타나는 열수분비에 대해 차분히 설명드리겠습니다.
열수분비는 단위 질량의 건조 공기가 받을수있는 총 열 에너지로, 현열과 잠열이 합쳐진 값을 의미합니다. 즉, 공기의 온도변화에 따른 열(현열)과 수분이 응결 또는 증발할때 필요한 열(잠열)이 함께 고려된 개념입니다.
습공기 선도에서 열수분비는 엔탈피 값으로 표시되며, 주로 kcal/kg 단위로 나타납니다. 이 값은 공조 부하 계산시 매우 중요합니다. 예를 들어, 실내 공기를 냉방하거나 가습, 제습하는 경우, 공기의 상태 변화에 따라 주고받는 총 에너지량을 산정하는데 열수분비를 활용합니다.
공조기 설계에서는 열수분비 값을 이용해 필요한 냉·난방 용량 산출과 공기 가습 · 제습량을 계산하고, 습말 온도와 절대 습도 등 다른 상태 변수들과 결합해 최적의 공조 시스템을 설계하는데 필수적입니다. 즉, 열수분비는 공기 상태 변화 과정에서의 에너지 흐름을 정확히 파악하고 계산하는데 핵심적인 역할을 합니다.
안녕하세요. 조일현 전문가입니다.
열수분비는 습공기의 온도나 습도가 변할 때 열량 변화량의 비율을 의미합니다.
이는 공기 상태가 변할 대 공기 중의 열에너지가 수분량 변화와 온도 변화에 따라 어떻게 분배되는지 나타내는 값입니다.
이에 따라 공소 설계에서는 공기의 상태 변화에 따라 온도 변화와 습기 제거또는 공급의 비율을 알게 해줍니다.
예를 들어서 현열비가 0.8이라면 총 에너지 변화중 80%는 온도변화에 20%는 제습에 쓰였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로 인해 열수분비 특성이 맞지 않는다면 제습이 부족하거나 에너지 효율이 떨어질 수 있어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따라서 습공기 선도에서 이를 활용해 부하 계산과 공조기 성능을 검토하여 수행할 수 있게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