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내과 이미지
내과의료상담
클래식한대벌래203
클래식한대벌래20320.09.23

군의관/공보의 월급 및 복무기간 질문

의대 재학중인 예과생입니다. 군의관과 공보의 지원방법이나 자격, 현 월급 및 복무기간에 대해 자세히 알고 싶습니다. 너무 길다고 판단되는 경우 현역 의무병으로 빠르게 다녀오는 것도 괜찮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서민석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아직 학생이신가 봅니다. 군복무를 할 생각을 하면 다소 걱정이 될 수도 있지만 막상 가보면 너무나 재밌고 색다른 경험을 할 수 있는 시간이라서 마음 편히 가지셔도 될 것 같아요. 보통은 현역으로 학교를 다니다가 군대에 가는 경우는 거의 없고 추천하지도 않습니다. 아무래도 같이 입학한 친구들과 함께 학교를 다니다가 같이 졸업을 하는 것이 가장 무난한 방법이지요. 별로 추천해드리고 싶지 않답니다. 또한 나중에 의사 면허를 따고 나서도 현역으로 입대한 경력은 인정해 주지 않으나 군의관이나 공보의로 근무한 경력은 인정을 해주기 때문에 더 불리한 면이 있구요.

    의대생인 경우는 너무 늦게 의과대학에 들어오거나 몇번 유급이나 휴학을 하지 않는 경우는 의사면허를 따기까지 연기가 됩니다. 의사면허를 따고 나서 군대를 다녀오고 싶다면 공보의로 군 복무를 대체하게 되구요. 이 경우는 군의관으로는 갈 수가 없답니다.

    인턴을 마치고, 전공의를 하는 중간에 그만 두는 경우에는 대부분 군의관으로 가게 됩니다. 전문의가 되고 나서는 공보의 또는 군의관으로 복무를 할 수가 있구요.

    공보의를 가느냐 군의관을 가느냐는 내가 선택할 수 있는 것은 아니랍니다. 군의관이나 공보의도 엄연히 군복무이기 때문에 군대에서 필요한 인력 만큼을 일단 군의관으로 차출하고 남은 경우에 공보의로 군복무를 대신하게 됩니다.

    군의관이는 공보의든 복무는 36개월이고, 군 복무전 훈련 기간 1~2달 정도가 추가될 수가 있답니다. 군의관은 장교 월급 그대로 받습니다. 대위로 가면 대위 월급, 중위로 가면 중위 월급을 받고 대략 250만원 정도 될 겁니다.(제가 2013년에 전역을 했으니깐 지금은 조금 더 되겠네요.). 공보의 월급은 얼마인지는 정확히는 모르겠습니다. 시골 보건소로 가능 경우는 저희랑 비슷하거나 조금 적은 것으로 알고 있구요.

    가장 추천해 드리고 싶은 것은 전문의까지 쭉 공부하시고, 전문의 마치고 나서 군복무를 하는 겁니다. 처음 말씀 드린 것처럼 군복무 3년은 학생 6년, 인턴 1년, 레지던트 3~4년이라는 10년 넘는 시간을 한 곳만 보다가 잠시 다른 경험?을 해볼 수 있는 좋은 시간이랍니다. 아직 학생이면 공부만 열심히 하시고 현역으로 가는 것은 가급적 하지 않으시기를 바랍니다.

    서민석 드림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선익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후배님 반갑습니다.

    우선 결정에 앞서 본인이 왜 의사가 되고자 했는지 생각해보고 본인이 추구하는 가치관에 부합하는 진로를 택하시면 될 것 같습니다.

    현재 우리나라에서 의료는 앞으로 더 힘들어질 것이란 예상이 되어 후배들에게 미안함이 많습니다.

    USMLE라면 미국의사로 활동하게 되는 조금은 특별한 진로를 걷게 됩니다.

    주위에 미국의사로 활동중인 선배 선생님이 계시면 한번 연락드려보고 결정하는게 어떨까요?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아하(Aha) 의료 분야 지식답변자 김현수 의사입니다.
    질문하신 내용에 대하여 아래와 같이 답변 드립니다.

    1.

    국시 합격 후 바로 공보의 지원을 하면 공보의로 갈수가 있습니다.

    하지만 공보의 지원을 하지 않고 대학병원에서 수련을 시작하게 되면 의무사관서약서를 작성하게 됩니다.

    이 서약서를 작성하게 되면, 의무사관후보생이 되면서 군의관과 공보의 사이의 선택권이 사라지고

    수련을 중도 포기하거나 마친 경우에 병무청의 전산 시스템에 의해 군의관으로 갈지 공보의로 갈지가 정해지게 됩니다.

    요즘은 전문의를 군의관으로 뽑으려는 경향이 높기 때문에,

    인턴 혹은 전공의 중도 포기는 공보의로 갈 가능성이 높고, 전문의를 따게 되면 군의관으로 갈 가능성이 높아지게 됩니다.

    (단, 전문의의 경우 군에서 선호되는 과가 있기 때문에, 일부 과는 군의관을 안가는 경우도 있습니다.)

    하지만, 이는 그 해년도 상황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군의관으로 가는 것이 확정된 과를 제외하고는 본인의 운에 맡겨야 합니다.

    2.

    공보의 복무기간은 훈련 1개월 + 복무 36개월 = 총 37개월

    군의관 복무기간은 훈련 6주+ 복무36개우러 = 총 37.5개월

    3.

    기본 봉급은 기본적으로 군의관, 공보의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여기서 공보의의 경우 근무형태에 따라 진료장려금이 추가될 수 있으며, 군의관의 경우 당직 근무시 추가 수당이 일부 있을 수 있습니다.

    수당과 관련하여서는 아래 링크를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https://namu.wiki/w/%EA%B3%B5%EC%A4%91%EB%B3%B4%EA%B1%B4%EC%9D%98%EC%82%AC

    4.

    현역병의 경우 복무기간이 이전보다 짧아졌지만, 군의관, 공보의의 복무기간은 37개월로 동일하게 유지되고 있으며,

    (뉴스를 보니 18개월로 줄인다는 말도 있네요.)

    의학전문대학원으로 인해 이전보다 군복무 인원이 줄면서 공중보건의의 수도 많이 줄어 로딩도 이전에 비해 늘고 있는 추세입니다.

    이전에 비해 현역 대비 공보의, 군의관이 가지는 장점이 많이 줄고 있는 것은 확실합니다.

    요즘같은 공공재 대우를 받고 있는 상황에서는 빠르게 현역을 다녀오고 사회로 나오는 것도 좋은 방법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