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rogermaan
rogermaan23.04.25

우리나라 바다는 왜 에메랄드색 바다가 형성이 되지 않는 것인가요

열대 지방 여행 하다 보면 아름다운 에메랄드색 바다를 종종 목격하게 되는데요 참으로 아름답다고 생각합니다 그에 비해 우리나라는 왜 그러한 에메랄드색 바다가 나타나지 않는지 어떤 원리에서 그러한 차이가 발생하는지 자연 지질학적 관점에서 에메랄드색 빛깔 형성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원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갯벌이 발전되어 잇습니다. 각 나라별로 다른 지리적 특성은 바다에도 영향을 주기 때문에 우리나라 바다와 외국의 바다를 단순히 비교하는 것은 어렵습니다. 또한 외국의 에메랄드 빛나는 바다는 산호초 때문인데 우리나라는 산호초가 많지 않아 그런 색도 나타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일본해와 동중국해에 위치해 있습니다. 이러한 지형적 특성 때문에 바다 물의 색깔이 에메랄드색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에메랄드색 바다는 대개 열대 지방이나 산호초 지역에서 나타나는 현상으로, 높은 열대 식물의 생장과 해양 생물의 존재로 인해 녹색 색소가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우리나라의 바다는 춥고 바람이 많은 북서쪽 해역과 적막한 남서쪽 해역, 그리고 대부분의 해역이 석호화되어 있어서 산호초가 형성되지 않는 등의 지형적 특성 때문에 바다 물의 색깔이 에메랄드색으로 나타나지 않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렬 과학전문가입니다.

    열대 및 아열대의 심해(깊은 바다)에 주 서식하는 산호초에서 탄산칼슘이 바닷물로 녹아들어 태양빛을 산란시켜 에메랄드빛을 만듭니다. 이 탄산칼슘들이 석회로 침전되면 옥색이 더 뚜렷해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에메랄드색 투명한 바다는 보통 맑고 청정한 물에서 발견됩니다. 하지만 우리나라 주변의 바다는 주로 조류나 부유물질 등이 많아서 투명한 색상이 나오기 어렵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병윤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닷물의색은 주변 환경에 의해 결정이 됩니다.


    에메랄드 빛 색을 가지고 있는 바다에서 녹색을 띠는 이유는 클로로필이 큰 역할을 한다고 합니다.


    식물성 플랑크톤 내에있는 클로로필은 작은 단세포 유기체의 녹색 색소로, 광합성을 통해 햇빛을 해양 생물의 먹이로 바꿔줍니다.


    이로인해 각종 부유물과 프랑크톤들이 고위도지역으로 옮겨지면서 부유물의 밀도가 훨씬 낮아진다고 합니다.

    -> 그래서 자연스레 투명한 색을 띄게 되는 것이라고 합니다.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