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고귀한거북이194
고귀한거북이19423.05.03

왜 인간의 눈동자는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걸까요?

안녕하세요

사람마다 눈동자의 색이 약간씩 다르잖아요

같은 한국 사람이라 해도..

왜 인간의 눈동자가 다양한 색상을 가지게

되는 것인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이만우 과학전문가입니다.

    같은 한국사람이라도 자세히 눈을 들여다보면 미세하게 제각각임을 알 수 있고요..외국인의 눈을 보면 그 차이가 더 극명하게 드러나는데요.

    눈은 크게 흰자위를 뺴고 눈의 중심부인 동공은 동서양 모두 검은색인것은 동일한데...동공을 둘러싼 홍채의 색상이 사람마다, 인종마다 각기 다른 색상이나 무늬,형태를 띄고 있답니다.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이유는...크게,

    유전자적인 이유와 멜라닌의 양의 차이라고 볼 수 있구요..

    염색체에 따라 우성과 열성의 색상이 달라져서 결국 유전자 조합에 의해눈의 색상이 결정되는 것이며..

    멜라닌은 햇빛에 함유된 유해한 자외선을 흡수하여 신체를 보호해주느 색소로 홍채뿐만 아니라 피부와 모발에도 함유되어 있는 색소인데

    이 멜라닌의 양ㅇ이 많으면 어두운 색을 띄고, 적으면 밝은 색을 띄는데요..

    즉, 홍채에 포함된 멜라닌의 양에 따라서도 눈동자 색깔이 달라지게 되는 원인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도움 되셨으면 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김태경 과학전문가입니다.

    사람의 유전자에 따라 눈동자 색이 다른 것입니다

    정확하게는 눈동자의 홍채 색이 다른것으로 자손에게 유전됩니다


  • 안녕하세요.

    인간 눈동자의 차이는 유전자 발현의 차이에 의해 나타나게 됩니다. 따라서 푸른눈을 가진 서양인과 검은눈의 동양인이 아이를 낳는다면, 아이는 푸른눈과 검은눈 유전자를 모두 갖습니다. 하지만 우성인 검은눈의 유전자만 발현하게되어 검은눈이 나오게 됩니다.


    그렇다면 왜 같은 검은눈의 사람끼리 혹은 같은 사람이라도 나이에따라 눈색이 미세하게 달라질까요?? 그것은 멜라닌 색소의 차이 때문입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눈동자의 색깔은 홍채 내 멜라닌 색소의 양과 분포에 의해 결정됩니다.

    멜라닌 색소의 양이 적으면 청색이 강하게 나타나고, 많으면 갈색과 짙은 색이 강하게 나타납니다.

    하지만, 색소가 결핍된 경우도 있는데요, 그 경우 혈관의 색인 빨간색을 띄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준엽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눈동자 색상은 주로 멜라닌색소의 양과 분포에 의해 결정됩니다. 멜라닌은 체내에서 생산되는 색소로, 눈동자의 색상뿐만 아니라 피부와 머리카락의 색상도 결정합니다.

    멜라닌 색소의 양과 분포는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영향을 받습니다. 유전적인 요인은 부모로부터 물려받은 유전자에 의해 결정되며, 눈동자 색상은 다양한 유전자의 조합에 의해 결정됩니다. 일반적으로 멜라닌 색소의 양이 많을수록 눈동자는 어둡고, 적게 있을수록 밝은 색상을 가지게 됩니다.

    또한, 환경적인 요인으로는 태어날 때 눈동자의 색상이 최종 결정되기 전에 노출되는 빛의 양과 종류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빛의 양과 종류에 따라 눈동자 내부의 멜라닌 색소가 활성화되어 눈동자 색상에 영향을 미치게 됩니다. 예를 들어, 자외선에 노출되면 눈동자 내부의 멜라닌 색소가 활성화되어 눈동자가 어둡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눈동자가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것은 유전적인 요인과 환경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이는 모두 각자의 개인적인 특성으로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 눈동자 색상은 주로 멜라닌이라는 색소의 양과 분포에 의해 결정됩니다. 멜라닌의 양이 많으면 눈동자가 어두워지고, 적으면 밝아지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 멜라닌 색소의 분포와 양은 유전적인 요인에 의해 결정되며, 인간의 인종, 혈통, 가족력 등에 따라 다양한 색상이 나타납니다


  • 안녕하세요. 형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눈동자 색상은 멜라닌이라는 색소의 양에 따라 결정됩니다. 멜라닌의 양이 많으면 검은색에 가깝고, 적으면 파란색에 가까워집니다. 중간 양의 멜라닌을 가진 사람들은 갈색 또는 초록색 눈동자를 가집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인간의 눈동자 색상은 멜라닌이라는 색소의 양과 분포에 따라 결정됩니다. 눈동자 안쪽에 있는 이산화탄소로 된 조직인 '색소 상체'에 멜라닌이 함유되어 있으며, 멜라닌의 양과 분포에 따라 눈동자의 색상이 결정됩니다.

    멜라닌은 눈동자의 색상을 제어하는 역할을 합니다. 멜라닌의 양이 많으면 눈동자가 어두워지고, 적으면 눈동자가 밝아집니다. 이러한 멜라닌의 분포는 유전적인 요인이 크게 작용합니다. 즉, 부모의 눈동자 색상이 자식의 눈동자 색상에 영향을 미칩니다.


  • 안녕하세요. 원형석 과학전문가입니다.

    눈동자 색깔이 사람마다 다른 것은 눈동자를 덮는 홍채의 멜라닌색소 양에 따른 것입니다.


    그렇다고 파란 눈에 파란 색소,갈색 눈에 갈색소가 있는 것은 아니에요~

    홍채는 섬모체로부터 수정체의 앞쪽으로 뻗어 나온 방사상 구조물로

    홍채의 중심부에는 홍채의 안쪽 끝부분에 의하여 형성된 구멍이 있는데 이를 동공이라 하며

    동공의 크기를 조절함으로써 눈으로 들어가는 광선의 양을 조절한답니당.

    [홍채의 색은 인종과 개인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이는 주로 색소의 함유량에 좌우되나 색소의 배열, 홍채실질의 두께 등도 영향을 미치구용~

    멜라닌색소가 가장 많을 경우 홍채의 색은 갈색을 띠며

    색소량이 중간 정도일 때는 회색 또는 녹색을,

    그리고 색소가 소량이며 홍채의 두께가 얇을 경우에는 청색을 각각 띤답니당..

    그리고 멜라닌 색소가 전혀 없을 경우 혈관내의 혈색에 의하여 붉은 색조를 나타내용. ]


    멜라닌 색소를 정의하면 동물의 피부에 존재하는 흑갈색 또는 흑색 색소.

    이는 사람의 머리털이나 검은 점의 색소 등이며,

    포유류 조류 절지동물에서는 각피 내부에 들어 있구용.

    또 낙지의 먹물 색소도 멜라닌색소에 해당되죵.

    멜라닌은 멜라노사이트라고 하는 세포내에서 만들어지는데,

    이 세포는 생후 3개월 정도가 되면 피부 중추신경계 망막 등의 부위에 분포하기 시작한답니당..


  • 인간의 눈은 다양한 색깔을 가지는 이유는 눈에 있는 색소의 양과 종류에 따라 다르기 때문입니다. 눈에 있는 색소의 종류는 멜라닌과 카로티노이드가 있으며, 멜라닌은 갈색과 검은색을, 카로티노이드는 노란색과 주황색을 만듭니다.


  • 인간의 눈동자가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이유는 멜라닌 합성과 분포의 차이 때문입니다.

    멜라닌은 눈동자의 색을 결정하는 피그먼트입니다.

    인간의 눈동자 색상은 주로 멜라닌의 양과 분포에 영향을 받습니다.

    예를 들어, 검은 눈동자를 가진 사람은 멜라닌이 많이 존재하고 눈동자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습니다.

    반면 파란 눈동자를 가진 사람은 멜라닌의 양이 적고 눈동자의 전체 영역에 균일하게 분포되어 있지 않습니다.

    눈동자의 색상은 유전적인 요소와 환경적 요소에도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전적으로 멜라닌 합성 및 분포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일부 환경적인 요소로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정도, 빛의 반사 등이 있습니다.

    따라서 인간의 눈동자가 다양한 색상을 가지는 이유는 멜라닌의 양과 분포의 차이 때문이며,

    이는 유전적 요소와 환경적 요소의 영향을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