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도 이집트 처럼 미라가 있나요???
안녕하세요. 넉넉한반달곰160입니다.
우리나라도 이집트 처럼 미라가 있나요?
궁금합니다. 답변 부탁 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동연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2010년 4월 경상북도 문경 홍덕동에서 발견된 무연고 분묘 ‘진성이낭 묘’를 기억하는가. 17세기 조선시대 진성 이씨 성을 가진 여인은 수백년 후 미라 상태로 다시 세상의 빛을 봤다.
직물과 목재 유물 등 50여가지의 유물이 여성과 함께 출토됐다. 이씨 여인의 사인은 성인병으로 밝혀졌다. 현대인의 전유물인 줄로만 알았던 성인병이 조선시대 여인에게서 확인되자 세간의 관심이 집중됐다.
그러나 2019년 현재, 여인은 이 세상 어디에도 없다. 연구가 끝나면서 화장(火葬) 처리돼 한 줌의 재가 됐기 때문이다. 보존 처리를 거쳐 박물관에 보관된 유물만이 이 세상에 남은 그의 유일한 흔적이 됐다.
연구자들은 미라가 가진 역사와 문화적 가치가 크다고 주장한다. 그러나 국내에는 미라 발굴·연구·사후 관리를 위한 정책이나 규정 등 어떠한 체계도 마련돼 있지 않아, 미라가 발견되고 필요에 따라 연구를 마치고 나면 화장하는 것이 일반적인 관행이다. 언론을 통해 알려진 몇몇 미라만이 연구자 개인의 뜻에 따라 어렵사리 보존되고 있다.
<투데이신문>은 한국 미라가 갖는 역사·문화적 가치를 고찰하는 한편, 미라가 화장터로 내몰릴 수밖에 없는 한국의 미라 발굴·연구·관리 부실 문제를 꼬집어 보기 위해 ‘사라진 미라를 찾아서’를 기획했다.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도 이집트 같진 않지만
무덤을 이장을 하거나 할때 미라처럼 발견 되는 경우가 종종 있습니다.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에서 미이라가 처음 발견된 것은 지난 2002년 9월 경기 파주시 파평 윤씨 선산의 무연고 묘지를 이장하는 과정에서 거의 손상되지 않은 채 생생히 보존된 시체 한 구가 발견 된것이 처음입니다. 66점이나 되는 의복으로 꽁꽁 둘러싸인 시체에서는 신발, 빗, 머리끈 등의 부장품과 함께 한글 편지도 발견됐다고 하지요. 조선 제12대 왕 인종의 후궁인 숙빈이 쓴 그 한글 편지의 내용과 시체를 싸고 있던 옷에 적힌 ‘병인윤시월’이라는 단어로 추적한 그 시체의 주인공은 놀랍게도 윤원량의 손녀였다고 합니다. 매장된 지 436년 만에 발견된 시체가 미라 상태로 보존된 것도 희귀한데, 자궁에서 태아도 미라 상태로 남아 있는 모자 미라는 전 세계적으로 거의 유일한 사례였다고 하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