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경제
순수한염소40
순수한염소40
22.09.13

미국소비자 물가지수 영향 미국증시

미국소비자 물가지수가 내렸음에도 불구하고 미국증시가 폭락을 했는데 아무리 기대치에 못미치는 지수에 실망했다고 치더라도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입니다

이해하기 쉽게 명쾌한 답변 부탁드립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류경태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최근 파월의장은 잭슨홀 미팅과 9월 6일 컨퍼런스에서 강력한 금리인상에 대한 의지를 시장에 어필하였는데요. 하지만 유가가 하락하고 있는 추세가 명확하게 보이면서 소비자물가지수의 데이터가 파월의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수 있는 근거 데이터가 될 것이며 이에 따라서 0.75%의 자이언트스텝이 아니라 0.5%의 빅스텝의 가능성에 대해서 어느정도 기대를 하고 있는 상황이었습니다.

    하지만 기대하면 오히려 더 실망이 큰 법이라고, 애초에 기대했던 CPI지수 8.1%보다 높은 8.3%가 나오게 되면서 파월이 꾸준하게 이야기한대로 금리인상기조가 더욱 빠르게 될 것이라는 공포가 확산되었으며, 이때 이번 FOMC에서는 자이언트스텝이 아니라 울트라스텝(1%)을 할수도 있다는 예측이 흘러나오고 이러한 공포가 확산됨에 따라서 지난주 금요일과 이번주 월요일에 상승분들을 모두 반납하고 하락하게 되었던 것입니다.

    즉, 완화에 대한 기대감으로 인해서 주식이 상승을 했는데, 그 기대감이 오히려 공포로 바뀌게 되면서 기존에 상승했던 부분을 다 상실한채 하방으로 향하게 되었다고 생각해주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오늘 PPI지수는 그래도 선방한 것 같아서 나스닥이 선방을 하지 않을까 기대됩니다.

    행복한 하루 되세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에서 시장은 인플레이션이 둔화되었다고 판단하였고 이에 예상하던 수치가 8.1%였는데

    CPI가 8.3%를 기록함에 따라서 인플레이션이 둔화되지 않고 이에 따른 인플레이션에 대한

    공포가 확산되었습니다.

    이로써 연준에서는 자이언트스텝을 넘어 울트라스텝까지 밟을 가능성이 높아지자

    주식시장이 폭락한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민창성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현재 시황과 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것은 물가 이슈입니다. 왜냐하면 물가가 지속적으로 상승하게 되면 이를 제어하기 위해 금리를 인상하게 되고 빠르고 큰 금리 인상은 대표적인 위험 자산인 주식을 팔고자 하는 매도 압박이 커지게 됩니다.

    이런 메커니즘이 상승 효과를 일으키며 시장을 더욱 위축시키곤 합니다.

  • 안녕하세요. 성삼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미국소비자물가지수는 지난달에 비해서는 내렸지만 이번달 발표가 나오기전에 약 8.0프로를 예상을 하였지만 8.3프로 예상치보다 높게 나와 그에 따른 시장에 반응을 보이는것이며 이것은 미국연준의 금리인상에 자이언트급이상의 금리인상을 예고하는것으로 시장에 반영을 하는것으로 풀이가됩니다.

  • 안녕하세요. 최현빈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 물가지수가 하락할 것을 기대해서 이미 올랐는데 예상을 벗어나고 생각보다 하락폭이 적었기 때문에 실망매물과

      불안한 매물이 시장에 쏟아져 나왔습니다.

    • 추가적으로 다음주에 있을 FOMC 회의에서 금리를 75BP가 아닌 100BP 인상 가능성도 나오고 있어서

      자산시장의 침체로 이어질 전망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원진 경제·금융전문가입니다.


    미국 소비자물가지수 전망치가 8.1%였는데요 8.3%로 발표가 나왔습니다. 특히 유가가 급락한 상황에서 소비자물가지수가 예상치 보다 높게 나와서 지금 시장은 더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데요. 아무래도 물가를 잡기 위해서 연준이 가준 금리를 인상하는 폭이 커지고 금리 인상하는 기간이 늘어날 것으로 보기 때문에 부정적으로 받아들이고 있는 것으로 해석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