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겨울에 손에 끼는 장갑은 왜 추위를 완벽히 막아주지 못하는걸까요?
추위라는 게 결국 주변의 온도가 낮아서 내 열을 뺏기기때문에 온도가 내려가는거 같은데
왜 장갑을 껴서 온도를 보호하려고 해도 어느정도 선까지만 보호되는건가요?
장갑을 진공으로 만들어서 열이 전달될 매개체를 없애면 안되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곽지윤 전문가입니다.
장갑을 껴도 열이 교환되는 이유는 2가지 입니다.
장갑을 구성하는 물질 자체가 열전달을 합니다.
철을 이용해서 장갑을 만들고 공기가 통하지 않게 밀봉을해도 철 자체적으로 열을 전달하게 되는 것이죠.
두번째로는 장갑을 구성하는 매질이 공기를 통과시키기 때문입니다. 스키장갑처럼 두꺼운 장갑도 공기를 조금씩 통과시킵니다. 이때 외부의 찬 공기가 들어오게 됩니다.
말씀하신대로 진공으로 장갑을 만들 수 있다면 열차단율이 아주 우주한 장갑을 만들 수 있겠지만 기술적으로 구현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진공은 매우 단단한 금속이나 강화유리로 된 공간을 만들고 그 안의 공기를 빼내는 방식으로 만들기 때문입니다.
최근 에어로졸이라는 물질이 열전달률이 매우 작고 내열성이 뛰어난 소재로 우주산업에서 각광을 받고 있습니다.
이 물질을 사용해서 장갑을 만든다면 진공만큼은 아니지만 열차단율이 매우 높은 장갑을 만들수도 있을갓 같습니다.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김재현 전문가입니다.
장갑을 껴도 장갑사이사이나 장갑을통해 열교환이 일어나 완벽하게 추위를 막아주지는 못합니다. 그리고 장갑을 진공으로만드는 것 자체가 어렵고 부피도크고 비효율적이기 때문에 만들지 않는것이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