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상해 보험 이미지
상해 보험보험
상해 보험 이미지
상해 보험보험
향기로운돌꿩147
향기로운돌꿩14722.10.06

산재보험이 좋을까요 자동차보험이 좋을까요?

출근을 하다가 저는 도보중이었고 상대방 차랑 교통사고가 나서 오늘까지 입원을 했습니다

산재보험을 해야할지 자동차보험(대인)으로 하는게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둘다 된다면 어느보험으로 먼저 하는게 좋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장옥춘 손해사정사입니다.

    산재보험을 해야할지 자동차보험(대인)으로 하는게 좋을지 모르겠습니다 그리고 만약 둘다 된다면 어느보험으로 먼저 하는게 좋을까요???

    : 이 문제는 1) 질문자의 상해정도 2) 과실분쟁여부 3) 입원, 통원치료여부등에 따라 차이가 납니다.

    경우에 따라서는 자동차보험으로 보상받음이 좋을 수도 있고, 산재보험으로 보상받는 것이 좋을 때도 있어 단정적으로 이것이 좋다 저것이 좋다는 정답은 없습니다.

    만약 두가지를 다한다면, 산재보험처리후 자동차보험으로 처리를 해야 합니다. 다만, 두가지를 다한다는 것이 중복보상이 되는 것은 아닙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찬 손해사정사입니다.

    차 대 보행자 사고이기 때문에 과실이 있다고 하더라도 작고 큰 부상이 아니라면 산재로 하면 복잡한 부분이기 때문에

    자동차 보험으로 종결하는 것이 좋습니다.

    다만 많이 다친 경우에는 통원 기간에도 휴업 급여가 지급되는 산재가 유리하며 과실이 큰 경우에도 과실을 따지지 않고 정액 보상

    하는 산재가 좋습니다.

    산재 처리 이후에 산재에서 보상하지 않은 부분에 대해서는 자동차 보험에 추가 청구 가능합니다.


  • 안녕하세요. 문효상 보험전문가입니다.

    출근길 교통사고로 인하여 다친경우,

    일반적으로는자동차보험에 비해 산재보험으로 처리하시는 것이

    1) 비교적 충분한 치료기간, 2) 지급의 안정성, 신속성, 보장성, 3) 재발시 재요양 가능 등의 장점 있습니다.

    자동차보험과 산재보험은 ​중복 지급은 불가합니다. 중복보상이라기 보다.. 산재손해액보다 많은 경우 그부분에서 대인보상으로 받을 수 있다고 합니다.

    ​산재에서의 부족분 등 일부에 있어서는 산재 종료 이후 추가적인 손해배상 청구(자동차보험 포함)가 일부 가능할 수 있다는 이유 때문에 특별한 경우가 아니라면 가능한 산재로 처리하시는 것이 유리한 선택인 경우가 대부분이라고 합니다.

    ​특히 재발의 소지가 조금이나마 존재한다면 더더욱 산재로 처리하셔야 합니다.

    ​상대방(자동차보험사 포함) 등과의 합의 경우는 절대 서두르지 마셔야 하며, 산재 제한을 받지 않기 위해서는 절대 신중과 만전을 기해야만 하고, 산재처리의 경우는 근로복지공단에서 자동차보험사로 구상권을 청구합니다.

    기타 더 자세한 사항은 손해사정사 분들이 더 정확히 알것 같습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10.06

    안녕하세요. 정광성 손해사정사입니다.

    출근 중 사고의 경우 산재 처리 가능합니다.

    산재 처리를 하신 후 산재 초과 손해(위자료와 비 급여 치료비 등)에 대해 자동차 보험으로 추가 청구하시는 것이 좋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