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에게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또는 정치부분을 교육할때
아이에게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또는 정치부분을 교육할때 어떻게 교육해야 하는게 좋을지 궁금합니다 자칫 편파적인 성향으로 교육될까 조심스럽네요
정치나 경제 분야는 개인의 가치관이나 신념에 따라 다양한 의견이 존재하므로 편향되지 않은 중립적인 입장에서 아이들에게 알려주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부모님도 자신의 생각을 되돌아보고 편견 없이 객관적으로 이해하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또한, 자녀와의 소통을 통해 그들의 생각과 느낌을 존중하고 함께 이야기 나누는 것이 좋습니다.
학교에서 가르치는 사회 교과서에는 질문자님께서 질문해주시는 자본주의와 민주주의 또는 정치와 관련된 내용이 5,6학년 교과서에 굉장히 잘 정리가 되어있습니다. 사회 교과서를 살펴보면 우리나라에 있었던 여러 가지 역사적 사건들을 토대로 각 개념들을 객관적인 관점에서 풀어나가고 있는데요. 예를 들면, 4.19 혁명과 관련된 수업을 할 때에는 주제가 "4.19 혁명과 시민들의 노력을 알아봅시다" 이런 식으로 나와 있고 그 역사적 과정들을 굉장히 중립적이고 객관적이면서 건조한 문체로 풀어나가고 있습니다. 교사인 저도 이러한 교과서에 취지를 맞추어서 어느 한 쪽의 관점에 치우치지 않고 중립자의 입장에서 역사를 소개하고 그리고 사회적인 개념과 정치적 개념 등을 아이들에게 소개하는 입장에서 수업을 임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가정에서도 이러한 교과서 내용을 참고하시 어. 아이들에게 객관적 교육을 해주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이념부분을 교육하실때에는 최대한 사실위주로 전달해주시고
집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나 뉴스를 접할때에도 있는 그대로의 모습을 보고
생각나는 걸 나누는 연습을 해야합니다.
이념의 부분을 공부할때는 지식만 전달하는것이 좋습니다
역사에 대해서 공부하고 사상에 대해서 이념적인 부분을 이론의 입장에서 알려주신다면 문제가 없을것입니다.
아무래도 부모님이 정치교육을 할 경우 부모님의 정치색깔을 흡수 할 확률이 높죠.
어느 정치를 접하느냐에 따라 정치적 색깔도 편파적일 수도 있구요.
먼저 나라별로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를 구분해서 설명해주시고
자본주의, 민주주의, 사회주의, 공산주의가 추구하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하기 위해
연관된 책을 사주게 하는 것도 좋은거 같아요.
아이 스스로 생각하고 판단 할 시간을 주면 도움이 되겠죠.
부모님은 아이가 궁금한거 설명해주면 좋을듯해요.
아이에게민주주이사회주의등교육시
1.각사상에대한역사를교육
2.장점과단점에대해서 교육
3.현대사회의예를들어교육
참고하시면좋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