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의료상담
큰쥐34
큰쥐34
23.08.28

충치인지 착색인지 판별하는게 그렇게 어려운 건가요?

나이
50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없음
기저질환
없음

충치에 관해 여쭤봅니다.

유튜브에서 어느 치과 의사분이 옆면(인접면) 충치의 상당수는 착색이지 충치가 아니다, 치과의사의 대부분이 탐친건사도 안해보고 육안으로만 보고 충치라고 오진한다, 아니면 충치가 아닌 줄 알면서도 고의로 치아손상해서 돈을 벌고 있다, 라고 하는 영상을 봤습니다.

제가 그동안 생각해온 거는....치과의사라면 충치인지 아닌지 판별하는 거 정도는 기본으로 알고 있을거라 생각하고, 다면 충치를 치료에 있어 적극적으로 하느냐 소극적으로 하느냐는 의사 선생님 가치관에 따라 그냥 지켜보자고 하거나 초기에 치료를 하는거라고 생각하고 있었는데요. 저 의사분 말씀대로 변색인지 충치인지 판별하는 게 그렇게나 많이 오진할 정도로 어려운 일인지(고의로 치아손상해서 돈 버는 건 의사가 아니라고 생각하기에 열외로 하고)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
  •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blue-check
    채홍석 가정의학과 전문의
    유성선병원
    23.08.28

    안녕하세요. 채홍석 의사입니다.

    유튜브의 선생님은 원론적인 이야기를 하는 것이죠.

    의심의 여지가 있을 때는 치료를 하는 게 맞습니다

    이유는 그렇지 않았을 때 치러야할 대가가 크기 때문입니다

    환자를 위해서 그렇게 했는데 그 중 일부가 나중에 충치인걸로 밝혀지면

    저 치과 돌팔이다 부터 시작해서 네이버 리뷰에 소송에 난리 납니다.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충치와 단순치아착색을 감별하는 것은 치과전문의의 전문진료가 필요한 부분입니다. 대략적으로 둘을 감별하는 방법은 있습니다.

    1. 증상 및 통증: 충치는 흰색, 갈색, 검은색 등의 색소로 변색된 부분이 나타나며, 먹거나 마시는 것에 따라 통증이나 민감도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단순치아착색은 색소 침착으로 인한 변색이며, 통증이나 민감도가 없을 수 있습니다.

    2. 변색의 형태: 충치는 변색된 부분이 확실히 구분되는 경우가 많으며, 표면이 부풀어 오르거나 골절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단순치아착색은 색소가 치아 표면에 흡수되어 균일한 색을 보일 수 있습니다.

    3. 진단 검사: 충치의 경우 X선 검사 등을 통해 내부의 손상 정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또한, 전문 의사의 치아 검진을 통해 충치 여부를 판단할 수 있습니다. 단순치아착색의 경우 특별한 검사 없이도 외관적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