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하얀도화지113
하얀도화지113

구름은 수증기로 이루어 진걸로 알고 있는데, 구름은 하얗게 보이지만 수증기는 왜 안보이는거에요?

안녕하세요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대부분 물(수증기로) 이루어 진걸로 알고 있는데요

근데 구름은 하얗게 보이지만, 수증기의 경우 눈에 안보이는데... 무슨 차이인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하얀도화지님 :)

    하늘에 떠 있는 구름은 수증기가 응축되어 만들어진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로 이루어져 있고, 수증기가 응축되어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알갱이가 되면 빛을 산란하게 됩니다.

    산란된 빛은 우리 눈에 하얗게 보이게 되지요! 하얗게 보이는 이유는 빛의 산란이 있기 때문인데, 빛은 파장이 짧을수록 산란이 잘 일어나는데, 수증기나 물방울은 파장이 짧은 파란색 빛을 더 많이 산란시킵니다. 산란에는 레이리 산란(작은 분자나 입자가 빛을 산란시킬 때 발생)과 미 산란(구름의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은 레이리 산란보다는 큰 크기를 가지고 있어 미 산란을 주로 일으킴)에 의해 구름이 흰색으로 보이게 되지요.또한, 빛의 흡수가 있어요!(수증기나 물방울은 파장이 긴 빨간색 빛을 더 많이 흡수) 즉, 수증기는 기체 상태의 물로, 분자 크기가 매우 작아 눈에 보이지 않으며 빛을 산란시키지 않지만, 구름은 작은 물방울이나 얼음 결정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들은 빛을 산란시켜 구름이 흰색이나 회색으로 보이게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