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대견한멧새88
대견한멧새8822.08.29

무지개는 왜 일곱 색깔일까요?

안녕하세요 오늘 문득 하늘을 보다보니 무지개 대해 궁금해서 질문드립니다 무지개 색깔은 보통 7 색깔로 보이는데 왜 무지개는 일곱 색깔 로 되어 있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2.08.29

    안녕하세요. 한만전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의 색깔은 무여 207가지라 합니다. 19세기 뉴턴이 데카르트의 실험을 지켜보고 7가지 색깔로 정의 내렸다고 합니다. 무지개 색은 빛을 프리즘에 통과를 시키면 207색까지 나옵니다.


  • 안녕하세요. 홍성택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의 으로는 빨간색, 주황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남색, 보라색이 있다. 빨주노초파남보의 그 색들인데, 다른 나라에서는 무지개의 색을 다르게 분류하기도 한다.

    무지개를 그릴 때 보통 색들 사이에 경계를 그어 완전히 구분하는데, 실제로는 그렇게 확실하게 구분되어있지 않고, 가시광선 영역 안에서 존재할 수 있는 색깔들이 혼합되어 펼쳐진 것이다.

    무지개가 7색이라고 알려지게 된 건 뉴턴이 스펙트럼 실험으로 찾아낸 연속 스펙트럼의 색을 토대로, '도레미파솔라시'의 7음계에 따라서 색을 나누었다는 이야기가 정설이다.

    뉴턴 이전의 유럽에서는 빨간색, 노란색, 초록색, 파란색, 제비꽃색(보라)의 5색으로 나누었다고 한다. 과거 한국 땅에서도 무지개의 색깔 개수를 7색이 아니라 5색이라고 여겼다고 한다.

    현재 영어권이나 미국에서는 무지개를 6색과 7색을 혼용하는데, 예컨대 예전 애플 로고의 컬러도 6색이며, 프라이드 플래그에서도 6색을 사용한다.

    통상적으로 무지개의 색을 총 7색이라고 하며, 이렇게 언어 문화권이나 국가에 따라 차이가 있으며, 후술되는 것을 보면 같은 7색이더라도 한국과는 다르게 색을 구분하기도 한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실제로는 7가지 색 사이사이 여러 스펙트럼의 가시광선이 존재하기때문에
    여러 색이 섞여있습니다.


  • 무지개는 실제로 일곱 색깔은 아닙니다.

    무지개를 연구하던 뉴턴이 적절히 7개로 분류해서 이후로 계속 일곱가지로 정의된 것입니다.

    실제 무지개를 분광해보면 200가지가 넘는 색이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영훈 과학전문가입니다.

    편의를 위해 7가지 색으로 구분했을 뿐 실제는 파장 별로 무한대의 다른 색깔을 갖습니다.

    예를 들어 빨간색도 다 같은 하나의 색이 아니라 파장 별로 다른 종류의 색을 갖습니다.

    다만, 우리가 배울 때 빨주노초파남보로 배웠기에 7가지 색깔이라는 선입견이 있어서, 무지개도 그렇게 보일 뿐입니다.

    실제로 파란색과 남색의 구분이 없었다면 우리는 6가지 색깔로 인식했을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의 색깔을 일반적으로 일곱 색깔로 말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207개의 색이 합쳐져 있습니다.

    하지만 우리 눈으로 모두 분간이 어렵기도 하지만 옛날에 뉴턴에 의해서 일곱가지 색깔로 부르면서 무지개는 일곱색깔이라고 부르게 되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두환 과학전문가입니다.

    무지개는 물방울에 통과된 태양빛이 굴절하면서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어 우리눈으로 들어오면서 생기는 현상입니다. 이때 물방울을 통과한 빛이 파장별로 색깔이 분해되는데, 빨주노초파남보 뿐만아니라 빨간색과 주황색 사이의 색도 포함 될뿐더러 문자로 표현할 수 없는 연속적인 가시광선 영역의 색상이 전부 포함되어있습니다. 우리가 빨주노초파남보라 7개로 나눈 이유는 편의상 나눈것입니다. 무지개에 딱 7개의 색만 있는것은 아닙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