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신경과·신경외과 이미지
신경과·신경외과의료상담
매너있는수염고래94
매너있는수염고래9423.12.28

뇌전증파가 나타났음에도 경련 증상으로 이어지지 않는 이유는 뭔가요?

나이
24
성별
여성
복용중인 약
케프라정
기저질환
뇌전증

경련 증상 한 달 후 비디오 뇌파 검사(24시간)를 통해 뇌전증 진단 받았습니다. 이전 뇌파검사, mri 검사에서는 특별한 이상이 관찰되지 않았습니다.

검사 시 특별한 경련 증상, 전조 증상이 전혀 없었음에도 불구하고 뚜렷한 뇌전증파가 지속적으로 자주(10회 이상) 관찰되었다는 진단 하에 뇌전증 판정 받았습니다.

이후 현재까지 약 5개월 간 경련 증상 예방 차원에서 약물 복용 중이고, 약물 복용 중 경련 증상(부분, 전신 발작 포함)은 없었습니다.


1. 검사 당일에 뇌전증파는 관찰되었는데 왜 무증상이었던 건지 알고 싶습니다.


2. 뇌전증파와 뇌 손상의 관계성, 뇌전증파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신체적 증상(경련 외)에 대해 알고 싶습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신성현 의사입니다.

    뇌전증파가 관찰되었지만 경련 증상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는 뇌전증의 복잡한 특성과 관련이 있습니다. 뇌전증파는 뇌의 전기적 활동이 비정상적으로 증가했음을 나타내지만, 이것이 반드시 경련이나 명확한 신체적 증상으로 나타나지는 않습니다. 뇌전증 발작의 발현은 뇌의 어느 부위가 영향을 받는지, 그리고 뇌전증파가 어떻게 확산되는지에 따라 달라집니다. 어떤 경우에는 뇌전증파가 특정 부위에 국한되어 신체적 증상이 나타나지 않거나 경미한 증상으로 그치는 경우도 있습니다.

    뇌전증파 자체가 직접적인 뇌 손상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지만, 반복적인 뇌전증 발작은 뇌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장기적으로 반복되는 발작은 인지적 기능 저하, 기억력 감소, 감정 조절 문제 등 신경학적 합병증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이는 개인마다 다르며, 모든 뇌전증 환자가 이러한 합병증을 경험하는 것은 아닙니다.

    뇌전증파로 인해 나타날 수 있는 다른 신체적 증상으로는, 경련 외에도 집중력 저하, 시각적 변화, 감각 이상, 의식 상태 변화 등이 있을 수 있습니다. 이러한 증상들은 뇌의 어느 부분이 영향을 받느냐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약물 복용으로 경련 증상이 없다는 것은 치료가 효과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음을 나타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