바다 사막화 현상이 나타나고 있다는데요. 원인은?
티비에서 바다사막화현상으로 바다숲이 사라지고 있다고 합니다.
바다가 사막화된다고 하는 말이 무슨말인지 상세한 추가설명이 궁금합니다.
안녕하세요. 류경범 과학전문가입니다.
바다의 사막화는 산호의 백화현상과 관련됩니다.
산호는 온도에 아주 민감해서 최적 온도인 20~28도를 벗어나 18도이하거나 30도보다 높아지면 산호가 가지고 있던 조류를 내보내 자신을 하얗게 백화한 후 지속되면 죽게 됩니다.
그렇게 되면 바다는 점차 사막처럼 모래바닥만 남게 되는 것입니다.
안녕하세요. 이준엽 박사입니다.
바다와 사막의 생태계는 매우 다르고 뚜렷한 특징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바다가 사막이 되었다고 말하는 것은 정확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바다의 특정 지역은 "해양 사막화"로 알려진 과정에서 생물학적 생산성과 다양성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해양 사막화는 남획, 오염, 기후 변화 등 다양한 이유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요소는 바다의 물리적 및 화학적 조건을 변경하여 특정 종에 덜 호의적으로 만들고 해양 생태계의 균형을 방해할 수 있습니다.
결과적으로 바다는 덜 "푸른" 또는 "무성한" 것처럼 보일 수 있으며 더 적은 수의 동식물 종을 지원할 수 있습니다. 해양 사막화는 바다와 바다에 의존하는 사람과 야생 동물의 건강에 심각한 결과를 초래할 수 있습니다.
해양 사막화의 근본 원인을 해결하고 해양의 건강을 보호하고 복원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안녕하세요. 김계민 과학전문가입니다.
지구 온난화와 해양 오염으로 해조류가 없어지고, 그 자리에 하얀 석회조류가 덮이는 바다의 사막화 현상이 심각하게 벌어지고 있습니다.
바다의 사막화를 좀 더 자세히 알아보자면, 바닷가 바위에 살던 미역, 다시마, 감태와 같은 해조류가 사라지고, 그 자리를 산호말 같은 석회조류가 차지하는 현상을 말합니다. 석회조류는 해안 바위 등에 넓게 퍼지는 두꺼운 탄산칼슘 층이기 때문에 그 위에서는 도저히 해조류가 살아남을 수 없답니다. 석회조류가 보통 흰색이나 옅은 분홍색을 띠기 때문에 국제적으로는 이를 백화현상이라고 부르며, 우리나라에서는 갯바위 갯지렁이를 말할 때 쓰는 '갯'과 녹는다는 듯의 '녹음'을 합쳐 '갯녹음'이라고도 부르고 있습니다.
해조류는 광합성 작용을 통해 바닷물에 산소를 공급하고, 새우나 게, 고등같이 바다 바닥에서 생활하는 저서생물의 먹이가 되어줍니다. 많은 물고기가 해조류를 은식처 삼아 서식하기도 하죠. 하지만, 해조류가 아닌 석회조류가 바다 바닥을 차지하게 되면 산소부족으로 인해 적조현상이 나타나기 쉽고, 바다 생명체의 개체 수는 물론 종까지 확 줄어들면서 황폐한 바다가 되어 버린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