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핫뉴스실시간 인기검색어
아핫뉴스 화산 이미지
아하

경제

경제동향

앵그리버드
앵그리버드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는데 국내 시세에는 곧바로 반영이 안되나 봐요?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는데 국내 시세에는 곧바로 반영이 안되나 봐요?

사상 최고치라고 해서 금시세를 검색해봤는데 2월달이 최고 피크고 현재는 그때에 비해서는 떨어져 있는 수치를 보니 국제 시세와 국내 시세는 좀 동떨어진건가 해서 질문드려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6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

    안녕하세요. 김강일 경제전문가입니다.

    네, 국제 금값과 국내 금값 사이에 차이가 있습니다. 최근 국제 금 가격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지만, 국내 금 시세는 이를 즉각적으로 반영하지 않고 있습니다.

    현재 국제 금 가격은 계속해서 상승하고 있으며, 3월 13일 기준으로 온스당 2,986.46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이는 사상 최고치에 근접한 수준입니다. 더욱이 일부 월가 전문가들은 금 가격이 3분기에 3,150달러까지 오를 것으로 전망하고 있습니다.

    반면, 국내 금 가격은 2월 중순 최고치를 찍은 후 하락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2월 14일 KRX 금시장에서 1g당 168,500원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으나, 이후 2주 동안 약 15% 하락했습니다. 3월 11일 기준으로 KRX 금시장에서 1kg 금 현물은 138,670원에 거래되었습니다.

    이러한 차이는 '김치 프리미엄'이라 불리는 현상과 관련이 있습니다. 2월 중순 국내 금 가격이 국제 가격보다 최대 24% 높게 거래되었으나, 이후 이 격차가 급격히 줄어들었습니다. 국제 금 가격은 비교적 안정적으로 유지된 반면, 국내 금 가격만 하락하면서 이 격차가 조정된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국제 금 가격의 상승이 국내 시세에 즉각적으로 반영되지 않은 것은 이전의 '김치 프리미엄' 현상이 해소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수 있습니다. 향후 국내 금 가격도 국제 시세를 따라 상승할 가능성이 있으므로 계속해서 시장 동향을 주시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내 금값이 국제 금값과 완전히 동기화되는 데 걸리는 정확한 시간을 예측하기는 어렵습니다. 그러나 최근의 동향을 살펴보면 몇 가지 흥미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2025년 3월 초 기준으로, 국내 금값은 국제 금값과의 격차를 빠르게 좁히고 있습니다. 2월 중순 국내 금값이 국제 금값보다 최대 24% 높게 거래되는 '김치 프리미엄' 현상이 있었지만, 2주 만에 이 격차가 크게 줄어들었습니다.

    구체적으로, 2월 14일 국내 금값은 1g당 16만3530원으로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2주 후인 2월 28일에는 13만9030원으로 15% 하락했습니다. 같은 기간 국제 금값은 단 1% 하락에 그쳤습니다.

    3월 5일 기준으로 국내 금값과 국제 금값의 괴리율은 1%대까지 축소되었습니다. 이는 김치 프리미엄이 빠르게 해소되고 있음을 보여줍니다.

    이러한 추세가 지속된다면, 국내 금값이 국제 금값과 거의 완전히 동기화되는 데 몇 주에서 한 달 정도 더 걸릴 것으로 예상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환율 변동, 국내 금 수요, 경제 불확실성 등 여러 요인에 따라 이 기간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결론적으로, 국내 금값과 국제 금값의 동기화는 진행 중이며, 현재의 추세로 볼 때 비교적 빠른 속도로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완전한 동기화까지는 여전히 시간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입니다.

    1명 평가
  • 안녕하세요. 이대길 경제전문가입니다.

    국제 금값과 국내 금 시세는 즉시 1:1로 반영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국내 금 시세는 국제 금값(온스 기준)뿐만 아니라 환율, 부가가치세, 유통 비용 등의 영향을 받기 때문입니다.
    또한, 국제 금값이 변동하더라도 국내 시장에서 실제 반영되기까지 시간차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인태성 경제전문가입니다.

    질문해주신 국제 금값이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는데 국내 시세에는 곧바로 반영이 안되는 것에 대한 내용입니다.

    국내 금값이 2월에 피크치를 찍은 것은 한국 프리미엄이 붙어서 대략 국제 시세와 20퍼센트 가까이 차이가 나서 그런 것이고 이제는 그 프리미엄이 빠지면서 국제 시세와 비슷한 시세대로 가고 있습니다.

    말씀대로 잠시 주춤했다가, 최근 국내 금 시세도 다시 오르고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전중진 경제전문가입니다.

    당시에는 우리나라에서 금의 매수세가

    너무나 강한 등 이에 따라서

    국제 금값보다 프리미엄이 붙어 약 20% 정도가 비쌋기에

    그런 것이니 참고하시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정현재 경제전문가입니다.

    금값의 국제시세와 국내시세가 동일하게 움직이진 않습니다. 국제 금값과는 환율 차이도 있고, 수요가 어느 정도이냐도 굉장히 중요합니다. 마치 가상화폐처럼 김치 프리미엄이라고 해서 국내 금값이 2월 중에 급격히 오른 것도 원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