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도도한듀공33
도도한듀공3323.04.06

하나의 나라 안에서도 여러 방언과 사투리로 나누어지는 이유가 궁금해요

외국에 살고있으면서 태국어 안에서도 지역별로 여러 방언과 사투리들로 나누어지는것을 보고서, 왜 표준언어외에 방언과 사투리가 생겨나게 되는 이유가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5개의 답변이 있어요!
  • 사람의 생각이나 느낌을 말로 전달하는 수단이 언어입니다.

    그러므로 언어는 그 사회 또는 공동체의 약속입니다.

    방언과 사투리는 이런 공동체에서 소통의 수단으로 사용되어 오던 말입니다.

    지리적 단절이 심했던 시절에는 특수한 억양이나 성조, 단어들이

    개별적으로 발달하면서 지역 방언이 생기고 사투리가 생긴 것입니다.

    교통이 발달한 요즘은 많이 순화되어 가고 있지만 여전히 방언과 사투리는

    사라지지 않습니다.

    나이 드신 분들로부터 듣는 제주도 방언은 전혀 다른 언어같은 느낌입니다.

    안녕하세요. 이병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세상의 모든 언어는 방언이 존재 합니다. 왜냐하면 표준어가 존재 하면 그 지역적인 거리 접근성 때문에 100% 같은 말을 쓸 수 없기 때문 이지요. 영어도 영국 영와 미국 영어가 틀리고 미국 영어도 남부 지방 영어와 북부 지방 영어가 틀리고 중국어도 북경 중국어와 상하이 중국어가 틀린 이유입니다. 하지만 인터넷과 방송 매체의 발달로 거 차이가 점점 더 줄어 가고 있는 추세입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방언과 언어의 지역적 차이는 지리적 고립, 문화적 차이 및 역사적 사건으로 인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자연스럽게 발전합니다. 한 국가 내에서도 지역 지리, 이주 패턴, 역사적 사건과 같은 요소가 고유한 방언과 언어의 발달에 기여할 수 있습니다. 어떤 경우에는 정치적, 경제적 요인이 언어 사용과 방언 개발을 형성하는 데 역할을 할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준영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예전에는 지역차로 인해서 방언 차이가 많이 났습니다. 지금처럼 통신도 발달되지 않았고 직업도 바꾸고 이사도 하는 등이 쉽지 않았습니다. 그래서 한 지역에 사는 주민들 언어가 고착화 되고 그것을 듣고 말하는 아이들 입으로 구전된 게 방언입니다.

    방언과 사투리는 표준어의 결국 일종으로 비하 대상 언어가 아니라, 같은 한 나라의 언어나 마찬가지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만 보아도 전라도와 경상도 그리고 아주 심한 제주도에 가면

    못 알아 먹을 정도로 심합니다. 그 지역의 특색이 강할수록 더 그렇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