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단기의 트립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 공부중인 30대 중반 여성입니다. 차단기에 대해서 공부중인데 차단기의 트립방식은 어떻게 되나요?
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자격증을 보유하고 있는 사람입니다. 차단기의 트립방식으로는 열 동작식, 자기동작식, 복합동작식, 전자식이 있습니다.
1명 평가안녕하세요. 전기기사 취득 후 현업에서 일하고 있는 4년차 전기 엔지니어 입니다.
차단기의 트립 방식에는 크게 세 가지가 있습니다. 첫 번째는 '과전류 트립'으로, 회로에 흐르는 전류가 설정된 값을 초과할 때 자동으로 회로를 차단합니다. 두 번째, '지락 트립' 방식은 회로에서 발생하는 지락 전류를 감지해 회로를 차단해 안전을 유지합니다. 세 번째는 '과전압 트립'으로, 전압이 설정된 범위를 초과할 때 회로를 차단합니다. 각각의 트립 방식은 회로의 안전성을 보장하고, 장비와 사람을 보호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죠. 제 답변이 도움이 되셨길 바랍니다.
안녕하세요. 박준희 전기기사입니다.
차단기의 트립방식은 차단기 차단용량 이상이 감지되면 차단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트립방식인거죠.
감사합니다.
안녕하세요. 이대길 전기기능사입니다.
가장 흔한 것이 전류의 차입니다 나가는 전류 그리고 차단기로 한 바퀴 돌아서 들어오는 전류에 합이 같지 않으면 차단을 하는 것이지요
안녕하세요. 유순혁 전기기사입니다.
차단기를 트립하는 방식에는 직류 트립방식, 콘덴서 트립방식, 전류 트립방식 등이 있습니다!
직류 트립방식 : 보호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트립코일에 직류 전류를 흘려 차단하는 방식입니다.
콘덴서 트립방식 : 교류 전압을 정류하여 콘덴서에 상시 충전해 두고 이 전압을 트립전원으로 사용하는 방식입니다.
전류 트립방식 : 계전기가 동작했을 때 변류기의 2차 전류는 트립 코일에 전류하여 차단하는 방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