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어떤 책인가요?
마키아벨리의 군주론은 많은 권력자들에게 영향을 미쳤는데요.
어떤 내용의 책이었길래 권력자들의 필독서가 된건지 궁금합니다.
간략하게 소개해주세요.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군주론에서 시민적 군주가 된다는 것은 새로운 법률을 제정하고 새로운 질서를 확립하는 것이니만큼 군주는 민중을 자기편으로 해야 한다고 말합니다. 그러나 군주는 아직 내외의 적으로부터 자기와 국가를 지키기 위해서 힘을 갖춘 교묘한 지혜가 필요합니다.
군주는 악덕에 의하지 않으면 지위를 보존하기 어려울 경우 악덕의 오명을 쓸 것을 두려워해서는 안되며 군사 면에서 시민군을 편성해야 하며 용병에 의지해서는 안됩니다.
정치가 도덕에서 멀리 떨어져있는 그대로를 조망하고 정치의 냉혹한 원리를 추구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론을 통해 신생 국가는 강하고 폭압적인 군주가 절대적으로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이러한 까닭에 금서로 오랫동안 지정되었고, ‘악마의 통치서’라는 오명을 벗어나지 못했습니다. 하지만 마키아벨리의 다른 저서 로마사논고를 통해 알 수 있듯이 그는 궁극적으로 공화정을 지향했던 인물입니다. 마키아벨리는 군주가 완전한 존재라고 규정하지 않습니다. 따라서 그 군주도 이기적인 인간의 속성이 내제되어 있고, 권위적인 자신의 자리를 지키는 데 온갖 노력을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백성 다수의 지지를 필요로 하며, 선하게 보일 수 있도록 이미지 메이킹을 하는 것이 필수적인데 즉, 그 자신이 이기적인 인간에 불과할 지라도 완벽하고 덕성을 갖춘 완전한 군주의 모습을 보여주어야 한다는 것입니다. 이에 덧붙여 어질게 보이기 위해서라면 악한 방법과 거짓 그리고 기만을 사용하는 것도 필요하다고 기술하고 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임지애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군주론의 내용은 다음과 같습니다.
군주론이 집필될 당시, 이탈리아는 강력한 중앙집권국가로 뭉쳐 있지 못하고 여러 소국으로 분열되어 있어 힘이 약했습니다. 반면 프랑스나 스페인 등은 저마다 중앙집권체제를 완비한 뒤 군사력은 보잘 것 없지만 경제문화적으로는 풍부한 땅인 이탈리아를 노리게 되는데, 이로써 벌어진 전쟁을 이탈리아 전쟁이라 합니다. 이러한 현실을 맞아 마키아벨리는 하루빨리 이탈리아가 야만인들의 지배로부터 벗어나야 한다고 주장했으며, 그를 위해 『군주론』을 집필하기에 이릅니다.
다만 이러한 정세와 함께, 군주론을 집필하게 된 또 다른 이유는 메디치 가문에게 잘 보이기 위함이었습니다. 마키아벨리는 메디치 가문이 추방된 이후에 공화국 피렌체에서 제2서기관으로 활약했지만, 메디치 가문이 복권한 이후에 실직한 이후로 어떻게든 정계에 다시 복귀하고 싶었기 때문입니다. 실제로 『군주론』 서문에서 마키아벨리는 로렌초 2세 데 메디치에게 헌정한다고 밝힙니다. 그러나 실제로 메디치가에 전달되었는지는 확인되지 않습니다.
『군주론』은 정치학의 중요한 고전으로 오늘날에 이르기까지 마키아벨리를 유명하게 만드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저서입니다. 여기서 마키아벨리는 남의 역량과 힘이 아닌, '자신의' 역량(비르투; virtu)과 힘(법과 군대)으로 정치적 문제를 해결할 것을 촉구하면서, 그러기 위해선 필요(네체시타; necessità)에 의해서 비도덕적인 정치 행동을 할 때도 있어야만 한다고 주장합니다. 이는 최초로 정치와 도덕을 분리시키려 한 시도[5]로서 높은 평가를 받고 있습니다. 이 점은 군주론 본문 15장 중에 나오는 "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당위)와 '어떻게 사는가'(현상)는 매우 다르다"라는 문장에서도 잘 드러납니다.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탈리아의 외교관이자 정치철학자인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저술한 16세기의 정치학에 관한 책입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안녕하세요. 박남근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피렌체의 정치가 니콜로 마키아벨리가 집필한 책. 군주는 상황에 따라서 비도덕적인 행위도 할 수 있어야 한다고 주장하여 후대에 많은 논란을 불러일으켰으나, 동시에 이 논란은 '현실에 입각한 정치철학'이 발달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만족스러운 답변이었나요?간단한 별점을 통해 의견을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