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어린관박쥐58
어린관박쥐5823.03.16

달을 왜 지금은 제대로 탐사를 안하나요 ?

화성도 화성이지만 눈앞에 명확히보이는 달을 개발해서 발전하는게 더 이득일것같은데 왜 굳이 화성으로 가려는거죠 ?달은 공식적으로도 모든 비밀을 다 푼건 아니지않나요 ??달에 생명체가 없다는 공식발표가 나온거도 아닌데 왜 생명체를 찾으러 화성까지가나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학영 과학전문가입니다.달은 인류가 이미 다양한 방법으로 탐사하고 연구를 했습니다. 1959년 소비에트 연방의 루나 1호가 세계 최초의 달 탐사선으로 발사되어 달 궤도에 진입한 이후, 미국의 아폴로 달 착륙선을 비롯하여 다양한 나라에서 다수의 달 탐사선 및 로버들이 발사되어 탐사를 진행하였습니다. 이러한 연구 결과로 인류는 달에 대한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었고, 지금은 달의 대략적인 지질학적 특징이나 자원 등에 대해서는 이미 상당한 이해가 있습니다.

    반면 화성은 지구와 매우 유사한 행성으로, 달보다 더 많은 수의 로봇 탐사선들이 화성으로 보내져 있습니다. 화성은 달보다 훨씬 복잡한 지질학적 특징을 가지고 있으며, 지구와 유사한 대기권과 지구와 유사한 천체로서의 환경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지구와의 비교 연구에 더 적합합니다. 또한 화성에는 지금까지 발견된 바로는 생명체가 존재하지 않지만, 생명체의 생존 가능성을 가진 희귀한 지질학적 특징이 관찰되었기 때문에 화성 탐사는 생명체 발견에 대한 희망도 있는 것입니다.

    결론적으로, 지금은 달에 대한 기본 탐사는 거의 완료되었으며, 다양한 탐사 결과를 토대로 화성을 비롯한 다른 태양계 행성 및 위성들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 달은 인류 역사상 탐사가 가장 많이 이루어진 천체 중 하나입니다. 하지만 현재는 달에 대한 주요한 탐사 목적이 대부분 달의 지질학, 지구 과학, 태양 향해 미치는 영향, 또는 인간이 달에 거주하고 연구하는 데 필요한 자원 등을 연구하는 것입니다.

    또한, 달의 탐사를 위해서는 막대한 비용과 기술적인 문제를 해결해야 합니다. 이를 위해서는 정밀한 계획과 연구, 그리고 국제적인 협력이 필요합니다. 현재, 미국과 유럽 등에서는 달 탐사를 위한 여러 계획과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으며, 중국, 일본, 인도 등 다른 나라들도 달 탐사를 위한 계획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달은 여전히 인류가 연구해야 할 많은 것들이 남아있는 미지의 대상입니다. 따라서 앞으로도 달에 대한 연구와 탐사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 안녕하세요. 과학전문가입니다.

    달은 많은 것이 알려져 있기 때문에 다시 탐사하는게 큰 의미가 없기 때문입니다. 그 비용과 노력이면 다른곳을 더 탐험하고 싶은거죠.

    질문에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