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착실한홍관조27
착실한홍관조2723.09.13

일본의 정한론은 왜 일었는가요?

안녕하세요? 일본에서 조선에 대한 침략론으로 정한론이 일어났는데 이게 왜 일어 나게 되었나요? 이게 아니면 일본에게 주권도 뺏기지 않았을거 같은데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3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초기 정한론은 일본의 부국강병론적 군국주의자들에게서 등장합니다.

    표면적으로 메이지 유신 이후 쓰시마섬을 개입시켜 조선에 대해 왕정복고를 한 신정부의 발족을 통고하고 개국을 강요하는 국교 교섭을 시도, 당시 흥선대원군의 집권 아래 쇄국정책과 척왜정책을 지향하던 조선 정부는 외교문서가 종전과 달리 고종을 격하는 등 당시 외교 관례에 어긋난다며 개수를 요구, 사신의 접견을 거부하는 등 국교 교섭에 난항이 거듭되자 이를 계기로 일본 내에서 정한론이 수면 위로 부상합니다.

    1870년 사다 하쿠보가 조선을 방문 후 일본으로 돌아가 강경하고도 구체적인 정한론의 건백서를 제출하는 등 정한론이 유력하게 대두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 왜구들은 정명가도를 주장하며 명나라를 칠너고 하니 길을 터주라고 요구했는데 조선은 이를 허락하지 않자 정한론을 주장하여 명나라를 치기 전에 조선을 공략하는 것으로 전략을 수정하옂1592년 토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한 임진왜란이 발생합니다. 이이의 10만 양병설이나 왜구의 침입에 대비해야 한다는 주장도 일본에 수신사로 파견된 황윤길과 김성일의 주장이 엇갈리다 보니 제대로 준비하지 못한 조선은 그야말로 물밀듯이 밀고 들어온 왜구들에게 허무하게 공략당하고 맙니다. 그러나 다행스럽게도 바다에서도 성웅 이순신장군이 있어서 왜구의 보급로를 차단함으로써 더이상의 피해를 입지 않고 왜구를 물리칠 수 있었기에 조선은 그 명맥을 유지할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일본에서 정한론이 대두한 것은,메이지 유신을 전후로 하여 일본 내에서 일어나고 있는 여러 가지 문제의 해결책이나 성장의 방법으로서, 이를 밖으로 표출하기 위한 전쟁이 논의되기 시작되었고 이것을 일본의 제국주의적 침략의 시발이라고도 할 수 있으며, 초기의 정한론에 반대하던 이들 또한 근대화가 일정 부분 진행된 이후에는 제국주의적 침략을 진행 하게 된 것 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