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문
산성과 염기성이 COOH 카복실산의 이온화에 미치는 영향이 뭔가요..?
왜 산성pH하에서 RCOOH + HOR'이 반응하여 RCOOR' + H2O가 생성되나요??
산성조건이면 이미 H+가 주변에 많을텐데.. =O부분에 굳이 카복실산의 H가 붙는건가요?
그냥 성질이니까 그러려니 해야하는 건가요...???
마찬가지로 염기성 조건에서는 왜 카복실산이 -COO-가 되는 건가요?? 산성과 반대인 조건이면 오히려 H를 얻는다던가 하는 줄 알았는데... 왜 여전히 H+를 잃는건가요?? 그러면 주위 pH에 따른 카복실산의 반응성은 차이가 전혀 없는건가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전문가 답변 평가답변의 별점을 선택하여 평가를 해주세요. 전문가들에게 도움이 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