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우람한슴새216
우람한슴새21623.03.30

조선시대에는 왜 불교를 멸시하였을까요?

고려시대까지는 불교가 크게 번성한 종교로 알고 있는데 조선시대에 접어들면서 불교도 크게 멸시를 받은걸로 알고 있습니다.

이렇게 된 배경이 무엇일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수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들어와서는

    이성계와 조선정부는 불교를 외면하고 유교를 국교로 정해 놓고 나라의 모든일을 유교방식으로 끌고감니다

    산에 절이 생기게 된원인은

    사람들이 일은 안하고 매일 절에가서 불공만 드리는것을 못마땅하게 여긴 조선정부는 사원을 철폐합니다

    그리고 중들을 쫏아버림니다

    중들은 마을을 버리고 산으로 들어가 절을짓고 살았습니다

    믿고싶은사람들은 개인적으로 산으로 가 절에서 기도 합니다




  • 안녕하세요. 박세공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이성계가 조선을 개국하고 함께 했던 세력이 신진사대부인데, 이들은 성리학을 수용한 이들입니다.

    고려시대 융성하든 불교가 많은 폐단을 낳았고, 부와 권력의 정점에 있었기 때문에 이를 타파하는것이 필요했습니다.

    그래서, 불교를 억압하고, 유교를 장려함으로 새로운 체계를 만들려고 한 것이지요


  • 안녕하세요. 김종호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유학을 국시로 하는 조선 사회에서

    승려들은 부모와 임금을 버리고 출가하여

    윤리를 멸시하는 존재로 낙인찍혔다.

    국왕에 따라 불교를 신봉한 경우는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불교는 정책적으로

    통제의 대상이었다.


  • 안녕하세요. 손용준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유교를 정치이념으로 삼아 불교를 배척했던 조선 시대의 불교는 극심한 억압과 핍박 속에서 어렵게 그 명맥을 유지해 나갔습니다. 숭유억불(崇儒抑佛)의 이념은 이성계를 도와 조선을 건국했던 신진 사대부들에 의해 건국 초부터 줄기차게 제기되었습니다. 그러나 태조(太祖)는 국가 창업 초부터 불교를 배척할 수 없다 하여 조정 유생들의 뜻에 따르지 않았다. 그는 무학 자초(無學自招)대사를 왕사로 삼았을 정도로 불교 신자 였습니다. 그러니 정치적으로는 불교를 배척 하면서도 개인적으로는 왕실이나 양반들도 불교를 추앙 했다고 볼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조형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에 불교는 여러 가지 이유로 멸시를 받았습니다. 하나는 지배계급의 지배 이데올로기이자 개인의 영적 추구보다 국가와 가족에 대한 충성을 강조한 유교의 영향 때문입니다. 또 하나는 조선왕조에 의해 전복된 고려왕조와 불교의 결합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일부 불교 승려들은 종종 국가와 별개의 권력과 영향력의 원천을 가지고 있었기 때문에 사회 질서에 위협이 되는 것으로 여겨졌습니다.


  • 안녕하세요. 경제&금융 분야, 재무설계 분야, 인문&예술(한국사) 분야 전문가, 지식iN '절대신 등급' 테스티아입니다.

    ✅️ 조선의 건국 주체 자체가 신흥무인세력과 신진사대부였으므로 이 중 신진사대부의 '유교, 성리학 유일주의'가 영향을 미친 것이라 볼 수 있으며, 고려 자체가 불교 국가였으므로 자기 자신들의 건국을 정당화 하기 위해서 불교를 억압했던 것도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 답변이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눌러주시고, 추가적으로 궁금하신 점은 의견으로 남겨주시면 답변드리겠습니다. - - -


  • 안녕하세요. 김보안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성리학에 주로 하고 있었던 조선 정부와

    유학자들은 불교의 힘이 커지자

    이단으로 취급을 하여서

    불교를 아단으로 취급해야 정도를 바로 세우는 길이라고 생각을 했기 때문입니다.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3.30

    안녕하세요. 엄재희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불교는 석가모니를 교조로 붓다의 가르침을 따르며 수행하는 종교입니다

    우리나라는 삼국시대에 불교를 수용하여 통일신라와 고려시대에 국가의 장려 아래 화려한 불교문화를 꽃피웠고, 조선시대 숭유억불의 수난기를 거쳐 오늘에 이르고 있습니다

    조선은 유학을 통치 이념으로 삼아 불교를 탄압하기 시작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축복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고려시대에는 불교도 많이 타락하였습니다. 그리고 성리학이 들어오면서

    신진 사대부들이 고려의 조정을 장악하고 급진개혁파가 조선을 건국하게 됩니다. 그들의 사상에는 성리학을 따라야

    하고 정도전은 불씨잡변이라고 해서 불교를 나라를 망치는 종교로 까지 묘사하였습니다. 성리학의 나라 조선을 꿈꿨고

    그래서 불교가 천시 받았습니다.


  • 안녕하세요. 박정욱 인문·예술 전문가입니다.

    조선시대의 불교에 대한 멸시나 국가적인 차원에서의 탄압은 다양한 역사적, 정치적 배경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우선, 조선시대의 정치적 배경에서는 조선이 유교 국가로서 태어나고 성장하면서, 왕실과 관료들이 유교 사상을 강력하게 지지하면서 불교가 차차 배제되는 경향이 나타났습니다. 특히 15세기 이후 유교적 사상이 대부분의 지식인 계층들에게 수용되면서, 불교의 위치는 약화되었습니다.

    또한 조선시대 중반부터는 정치적으로도 불교와 관련된 문제들이 발생했습니다. 대표적으로는 16세기 말부터 17세기 초에 일어난 '정도전 사건'과 '박지원 사건'이 있습니다. 이들 사건에서는 유교 교주와 그를 비롯한 다수의 불교 교도가 피살되면서, 국가적인 탄압이 더욱 강화되었습니다.

    불교 탄압의 또 다른 이유는 일부 불교 신자들이 정치와 사회적 문제에 개입하면서, 이로 인해 유교 관료나 왕실의 반감이 증폭되었습니다. 이러한 요인들이 결합하여 조선시대 후반부에는 불교는 점점 더한 멸시와 탄압에 노출되게 되었습니다. 하지만, 이와 별개로, 조선시대 불교는 민간에서는 여전히 큰 영향력을 유지하며, 국가적으로는 불교 사찰들의 경제력이 상당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광채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조선 시대에 불교가 멸시를 받은 배경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있습니다.

    첫째, 조선 초기에는 유교가 국가적으로 주류 종교로 대우받았습니다. 조선 성리학자들은 불교를 이끌어내고 유교를 강조하는 방식으로, 불교를 비난하고 유교를 보급하려고 했습니다.

    둘째, 16세기 중반, 조선 왕조는 신라 때부터 이어져 온 불교 제도를 폐지하고, 고종 11년(1605)에는 선종의 마지막 국왕인 선조가 불교를 국왕의 종교에서 배제하면서 불교 제도가 위축되었습니다.

    셋째, 조선 후기에는 서민들이 불교를 신봉하면서도, 사회적인 지위나 권력의 획득에는 유교를 따르는 것이 유리하다는 인식이 강해졌습니다. 이에 따라 불교는 민중적인 종교로 인식되고, 위인들 사이에서는 유교가 주류 종교로 인정되는 시대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습니다.

    이러한 배경으로 인해 조선 시대에는 불교가 비난과 멸시를 받는 시대적인 분위기가 형성되었고, 이로 인해 불교 제도는 위축되었습니다. 그러나, 이와 더불어 불교는 민중들 사이에서 여전히 강한 신뢰와 지지를 받으며, 조선 후기에는 불교를 바탕으로 한 도덕철학이 발전하고, 불교 민속 신앙이 유행하기도 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