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격증
교환율과 노출기준이 소음 측정에 미치는 영향(산업위생)
OSHA는 90dB, 교환율 5db이고 ACGIH는 85dB, 교환율 3dB 방식으로 각각 측정하여
ACGIH방법으로 측정한 값(평균)이 높게 나왔을 때,
교환율이 낮으면 같은 소음 수치라도 측정기가 더 높은 %로 환산해서 그런건가요?
또 이 평균값에 노출기준이 미치는 영향이 있나요? 노출 기준은 시료 중 몇 가지가 노출 기준을 넘었다 라는 결론을 내기 위해 쓰는 건가요?
역치가 미치는 영향은 만약 앞의 방법은 역치를 90dB, 후자의 방법은 역치를 85dB로 설정했다 치면 90dB 미만의 소음은 측정하지 않아서 총 누적소음이 적은데 같은 8시간으로 나눠서 전자의 방법이 높게 나오는 건가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1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차무영 산업안전산업기사입니다.
사실 노출기준이 사람의 인체에 미치는 영향은 지표수로 따져서 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습니다.
사람마다 느끼는 체감이 다르기 때문에 기준이 85든 90든 조금만 불편하면 보호구 지급 및 환경개선을 하시는 것을 권장하고요. 방법의 효율성 보다는 그냥 기준이 다른거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