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토목공학 이미지
토목공학학문
날개 없는 지역 까마귀 123
날개 없는 지역 까마귀 12323.01.25

눈올때 뿌리는 염화칼슘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눈올때 길거리에 뿌리는 염화칼슘의 원리가 궁금합니다.

왜 염화칼슘을 뿌리는지 눈에 어떤 작용을 하는지 과학적으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7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1.26

    안녕하세요. 이영준 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슘은 눈이 많이올때 제설용으로 많이사용되는 물질인데요

    염화칼슘이 얼음과 결합할 시에 얼음의 녹는점을 낮춰주는 역할을 하므로

    제설이 되는 원리입니다

    환경적으로 좋지않아 대체방안을 연구중이라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상현 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슘은 주변 습기를 빨아들이며 열을냅니다.

    이 열에의해 눈과 얼음이녹고, 녹은 물이 다시 흡수되며 열이 추가적으로 더 나게됩니다.

    감사합니다.


  • 안녕하세요. 임창진 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슘이 눈을 녹이는 원리는 용해열과 어는점 내림으로 설명할 수 있습니다.

    용해열은 고체인 염화칼슘이 눈이라는 물에 용해될때 열이 발생하는 현상이구요.

    어는점 내림은 순수한 물의 경우 0도에서 얼어버리는 반면 염화칼슘등 다른 물질이 섞인 용액은 어는 온도가 0도 이하입니다. 즉 어는점 내림으로 인해 0도 이하에서 얼기 때문에, 눈이 어는 것을 방지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슘을 사용하는 이유는 어는점을 낮추는 효과와 더불어 화학작용에 의한 발열 작용으로 제설작용을 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소금과는 다르죠.

    좋아요 클릭 부탁드립니다.^^


  • 제설제 = 염화칼슘을 이용해 어는점 내림 효과를 내기 위해서 입니다.

    물은 0도 이하에서 얼지만, 염화칼슘으로 인해 그보다 더 낮은 온도에서 얼게 됩니다.

    따라서 눈에 염화칼슘을 충분히 섞으면 영하 50도 이하에도 얼지 않고 얼음을 녹일 수도 있습니다.


  • 안녕하세요. 정철 과학전문가입니다.

    눈이나 빙판길에 염화칼슘을 뿌리는것은 염화칼슘과 물이만나 어는점이 낮아지기 때문입니다. 어는점이 낮아지게 되면 얼음이나 눈이 다시 녹게되고 녹은 물이 염화칼슘과 함께 퍼지면서주변 얼음과 눈을 다시 녹이게 되는 원리입니다


  • 안녕하세요. 김경태 과학전문가입니다.

    염화칼슘은 용해열이 크기 때문에 물성분이 닿으면 염화칼슘이 녹고, 발열합니다. 그러면서 눈을 녹여, 물이 되고 그 녹은 물에 또 염화칼슘이 녹아서 같이 녹아 연쇄반응이 나타납니다. 물에 대한 용해도가 은근히 크네요, 염화칼슘:물녹는양 = 1g: 74.5g 이라고 합니다. 물의 염화칼슘을 물에 녹이면 따뜻해 지는데 이때 이 위로 눈이 떨어지면 바로 녹아버리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