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활
조선시대때 안경을 쓰는건 왜 법도에 어긋났을까요?
조선시대때 안경이 들어온건 16세기부터로 전해집니다. 왕들이 썻다는 기록도 많고 신하들이 썼다는 기록도 많은데, 법도에 어긋나서 공식자리에서는 안썼다고 하는데, 조선시대때 안경을 쓰는건 왜 법도에 어긋났을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2개의 답변이 있어요!
안녕하세요. 수리무입니다.
조선시대에 안경이 렌즈를 통해서 사람을 보는 것이 나쁘다는 인식이 있고 건방지다고 해서 공식석상이나 윗사람 앞에서는 쓸 수 없습니다.
담배와는 다른 길을 걸었어요.
담배는 좋은 것이라는 인식이 있어서
맞담배도 허용하는 시대 였는데
갈수록 나쁘다는 인식이 생겨서 맞담배도 허용하지 않고 있고 공식석상에서도
허용하지 않습니다.
안녕하세요. 즐거운 나날입니다.
조선은
서열을 중시하는 주자학을 통치의 이념으로 삼은 나라입니다.물론 나이 많다는 것도 매우 중요한 서열 요소였지요.
그런데 안경은 나이 많아서 눈이 침침하다는 사실을 나타내니
곧 나이 많음을 내세운다는 의미가 됩니다.따라서 조선시대에는
윗 사람 앞에서나 많은 사람이 있는 공공장소에서는 안경을
착용할 수 없었다고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