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지구과학·천문우주 이미지
지구과학·천문우주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4.04.21

비오는날에 하늘은 왜 회색을 띄게 되나요?

오늘은 비가 오는 날인데요 문득 하늘을 보다보니 회색인데 왜 항상 비오는날에는 하늘이 회색을 띄게 되는지 궁금하더라구요 어떤 과학적 원리인지 알려주세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6개의 답변이 있어요!
  • 안녕하세요. 김민규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구름에 의해서 투과되는 빛의 양이 줄어들게 되어 하늘이 상대적으로 푸른 색이 아닌 회색 빛을 띠게 됩니다. 이 현상은 구름에서도 먹구름으로 나타나게 됩니다.


  • 안녕하세요. 이형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오는 날의 하늘의 경우 수증기가 아주 많아서 자외선을 막아줍니다. 그 층이 두꺼울수록 더 많이 어둡다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김찬우 과학전문가입니다.

    빛이 반사되지 못해서 어두운 빛을 나타내게 됩니다. 구름은 수증기 물방울들이 응결하여 만들어 집니다. 물방울 간 간격이 일정하게 배치가 되어 있으면 햇빛이 규칙적으로 반사되어 흰색 구름을 띄게 됩니다. 하지만 물방울 들의 밀도가 높은 경우 빛이 제대로 반사되지 못하고 흡수가 되고 통과가 되지 못하면서 회색빛을 만들어내게 됩니다.

    그럼 답변 읽어주셔서 감사드리며, 도움이 되셨다면 '추천'과 '좋아요' 부탁드리겠습니다. 추가로 궁금하신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지 댓글달아주시면 답변 드리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김재훈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오는 날 하늘이 회색으로 보이는 이유는 태양 빛과 수증기가 서로 작용하기 때문입니다. 맑은 날에는 태양 빛이 대기 중에서 산란되면서 푸른색 빛이 가장 많이 산란되어 하늘이 푸른색으로 보입니다. 하지만 비가 오는 날에는 수증기가 많아져 태양 빛이 더 많이 산란되고 흡수됩니다. 특히 빨간색과 주황색 빛은 수증기 때문에 많이 산란되어 하늘에 남지 않고, 파란색 빛도 일부 흡수되어 하늘이 회색이나 흰색에 가깝게 보이는 것입니다.


  • 안녕하세요. 옥성민 과학전문가입니다.

    비오는 날에는 구름과 빗방울 때문에 하늘이 회색으로 보입니다. 햇빛이 이 구름과 물방울에 닿으면 사방으로 흩어지면서 하늘이 회색으로 보입니다. 이러한 산란은 구름과 물방울이 햇빛을 반사시키는 작은 거울과 같기 때문에 발생합니다. 그래서 비오는 날 회색빛 하늘을 보는 것은 위의 구름과 빗방울에 의해 햇빛이 흩어지기 때문입니다.

    답변이 도움이 되길 바랍니다.


  • 안녕하세요. 박성학 과학전문가입니다.

    비가 오는날에는 하늘의 먹구름 때문에 회색빛을 띄게되는데 이는 구름층이 두꺼워 햇빛이 차단당하고 지상까지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에 회색으로 보이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