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역사 이미지
역사학문
망고마더77
망고마더7723.10.05

우리나라 역사상 핸드폰은 언제 처음 나왔는지 역사가 궁금해요

문득 최근에 핸드폰 없이 사는 사람이 없는데

초기에 핸드폰을 비롯하여 어떤 역사가 있는지 핸드폰에 변천 과정에 대해서 궁금합니다.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4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10.05

    안녕하세요. 이승원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 최초의 휴대폰이 언제 처음 나왔는지가 궁금하군요.

    1984년 5월 10일 한국통신(KT)에서 출시한 OAC-2100이라고 합니다.

    이 당시에는 아직 이동통신망이 구축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전용선을 통해서 통화를 할 수 있었습니다.


  • 안녕하세요. 윤지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한국에 처음으로 도입한 휴대폰은 모토로라 다이나택 800SL 모델이며 이 당시 가격은 포니 승용차 정도였다고 합니다. 국내에서 생산한 휴대폰은 삼성전자에서 출시한 SH-100 모델이라고 합니다.


  • 안녕하세요. 최은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우리나라는 1984년 한국이동통신이 휴대전화 서비스를 개시, 이후 삐삐와 시티폰의 과도기를 거쳐 1990년대 후반에 개인 이동전화가 본격적으로 보급되며 휴대전화 시대가 열리게 됩니다.

    대한민국 휴대전화 시장은 삼성전자의 애니콜과 LG전자, SKY, 모토로라, 노키아, 블랙베리 등이 각축을 벌이며, 1999년 폴더 모양의 휴대전화를 삼성전자에서 처음 출시, 동시에 1999년 5월 첫 카메라폰이 출시되었으며 국내에서 2000년 삼성전자가 출시한 SCH-V200이 최초의 카메라 폰입니다.

    2001년 세계 최초의 VOD폰이 출시되기도 했습니다.

    2000년대 초반은 휴대전화 업계에서 여러 발전이 일었던 시기로 2001년 노키아가 첫 컬러 액정 휴대전화를 출시한 것을 시작으로 2002년 첫 TFT-LCD 컬러 휴대전화 SCH-X430이 출시되는 등 흑백에서 컬러로의 전환이 이루어졌으며 국내,외 휴대전화 업계는 2003년을 끝으로 흑백폰 시판을 중간, 2000년대 중반부터 컬러 액정만 시장에서 살아남게 됩니다.

    또 2002년 3세대 이동통신 시험 서비스가 시작되어 2003년 상용화가 되며 3G로의 세대교체가 이루어졌으며 2002년까지 출시된 휴대전화는 전부 안테나가 외장형으로 되어있어 통화 시 안테나를 빼서 사용해야 했으나 2003년 2월 첫 안테나 내장형 SPH-X8300이 처음 출시, 2005년부터 모든 휴대전화가 안테나 내장형으로 출시됩니다.


  • 안녕하세요. 김기태 인문·예술전문가입니다.

    사실 20세기에도 스마트폰과 비슷한 티브폰 스크린폰 등은 상상 과학품 전시회나 SF에 나온 정도였습니다. 다만 2007년 이전만 해도 사실상 스크린터치폰은 공상의 영역이었습니다. 예를들면 1965년 이정문이 만든 2000년의 생활상에 소형 TV전화기가 나옵니다. 그러니까 공상의 영역이었던 것이죠. 한국의 스마트폰은 PDA폰과 궤를 같이합니다. 삼성에서 MITs단말기들이 출시된 SCH-420(2005)이후부터 입니다. 삼성 블랙잭(2007) 삼성 미라지(2008) 등이 출시되면서 벽돌폰이 아닌 스마트폰의 형태를 갖추게 됩니다. 해외에서는 핀란드 노키아가 심비안을 탑재하여 PDA폰이 아닌 스마트폰의 개념을 1997년 만들어 갑니다. 해외시장의 40%를 확보할 정도로 발전해갔지만 GSM방식이라 우리나라의 CDMA를 지원하지 않을 때입니다. 2007년 1월 9일 소문으로만 나돌던 Apple이 iphone을 출시합니다. 다양한 앱을 제작하고 이용할 수 있는 인적 서비스적 환경이 구축되면서 iphone OS를 탑재하고 GPS와 Apple store 지금의 ios를 출시하여 현대적 스마트폰의 개념을 정립합니다. 2009년말부터 2011년초까지 짧은 격동기 이후 삼성 갤럭시와 Apple 즉 Android와 iOS의 양강체제로 운영되고 있습니다. 끊임없이 진화하여 폴더블폰까지 출시되고 있는 추세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