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하
검색 이미지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양육·훈육 이미지
양육·훈육육아
매끈한고릴라122
매끈한고릴라12223.09.24

아이에게 훈육할때 어떤 자세로 훈육해야 할까요???

가끔 아이가 말을 너무 안듣고 그러면 정말 미울때가 많습니다.

그럴때 최대한 감정을 배제해서 훈육하려고 하는데 말처럼 쉽지가 않네요.

아이에게 훈육할때 어떤 자세로 훈육해야 할까요???

55글자 더 채워주세요.
답변의 개수11개의 답변이 있어요!
  • 탈퇴한 사용자
    탈퇴한 사용자23.09.24

    안녕하세요. 이승원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감정을 조절하는게 중요합니다.

    부모님이 화가 난다고 해서 분풀이를 하기 위함이 아니라

    훈육의 목적이 아이의 말과 행동의 변화이기 때문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먼저 아이의 마음을 공감해줍니다.

    가능하면 아이의 잘못된 행동, 즉 관찰한 행동을 말해주고

    부모님의 감정을 전달합니다.

    그러고 나서 앞으로 어떻게 해주면 좋겠는지를 부탁하며 마무리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화를 내기보다는 차분한 어조로 이야기하는게 좋습니다.

    그리고 비난이나 비교는 삼가해야겠습니다.


  • 안녕하세요. 이승호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훈육할때 가장 중요한 것은 아이에게 소리를 지르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이유를 말하지 않고 꾸짖지 말아주세요. 일관성 있는 자세도 중요해요.

    어떠한 경우에도 체벌은 하지 말아야 하고 타인이 보는 앞에서 꾸짖지 마세요.

    과거의 잘못을 끌어오지 마시고 아이의 이야기를 충분히 들으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이은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에게 너무 화를 내지 않고 감정적으로 훈육을 하는것을 피해주는것이 좋으며

    훈육을 할때는 일정한 목소리톤으로 단호하게 해주시는것이 좋습니다.


  • 안녕하세요. 천지연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때는 최대한 아이의 감정을 먼저 공감해 주신 후에 훈육을 하시는 것이 좋겠습니다.

    아이의 시선에서 아이의 마음을 이해하고 아이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시면서 아이의 감정을 공감한 후에 부모님의 생각을 전달해 보는 것이 좋을 것 같네요.


  • 안녕하세요. 박주영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 훈육방법은 정답이 없습니다. 하지만 가장 중요한 포인트는 감정을

    가지고 훈육하지 않는 것입니다. 아이가 잘못된 행동을 하였을 경우 그 행동만을

    단호히 훈육하시고 감정을 이입하지 않음이 중요합니다.

    참고하세요.


  • 안녕하세요. 양미란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훈육할 때에 아이를 너무 강압적인 분위기를

    보여주지는 마시고

    아이에게 잘못한 것을 스스로 반성하고 깨닫게 하는 것이 중요해요


  • 안녕하세요. 전중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을 할 때에는

    훈육에만 집중하시고 아이들이 자신의 잘못을

    깨닫게 하셔야 합니다.


  • 안녕하세요. 전지훈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언급한 것처럼 최대한 감정을 배제한 채 훈육을 해야 하지만, 말처럼 그렇게 쉽지 않은 것 같습니다

    아이에게 훈육을 할 땐 일관된 훈육이 중요합니다

    기분에 따라서 훈육을 하면 안됩니다


  • 안녕하세요. 심은채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아이를 훈육할 땐, 일단 감정이 가라 앉으면 해야 합니다

    화가 난다고, 큰소리로 훈육을 하게 되면, 감정이 들어가게 되어 있으니,

    최대한 감정을 누르고 낮은 목소리로 하세요


  • 안녕하세요. 황석제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식탁이있다면식탁에앉아서

    식탁이없으면바닥에 바르게앉아서

    해주시면좋겠네요


  • 안녕하세요. 좌승협 육아·아동전문가입니다.

    일단 아이가 울고 불고 할 경우 진정될 때 까지 기다려야 합니다. 나이에 따라 다르지만 어릴 수록 엄마 아빠가 하는 이야기를 100% 이해하지 못합니다. 그래서 단순하고, 간결하게 설명해야 합니다.

    해서는 안되는 행동을 간단히 알려주고 반복해서 피드백해야 합니다.